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계있어 남쪽으로 못 온다” 했는데…민통선에서 돼지열병 발견

11일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 경계인 3번 국도의 대전차 방호벽 인근에서 방역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차량 소독작업을 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일 강원도와 인접한 연천군 신서면에서 돼지열병이 확진되면서 강원 북부 지역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환경부는 12일 연천군 왕징면과 철원군 원남면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서 시료를 채취, 국립환경과학원에 보내 분석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밝혔다.

감염된 멧돼지는 모두 전날(11일) 비무장지대(DMZ) 남쪽의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에서 군인이 발견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한 것들이다.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지난 2일 DMZ 안쪽에서 발견된 것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멧돼지 개체 수로 보면 3마리째이다.

특히 DMZ의 우리 측 남방 한계선 남쪽의 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지난 3일 DMZ 내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되자 국방부와 환경부는 감염된 멧돼지의 남하 가능성에 대해 “우리 측 남방 한계선 철책에는 과학화 경계 시스템이 구축돼 DMZ 내 멧돼지 등의 남측 이동이 차단돼 있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정부당국의 예측이 틀린 셈이다.

연천에서 발견된 개체는 군인이 11일 오후 1시 45분께 왕징면 강서리 하천변에서 발견해 신고한 것이다. 이 개체는 비틀거리는 상태였으며, 연천군 및 야생생물관리협회 관계자가 출동해 사살한 뒤 시료를 확보했다.

철원에서도 군인이 11일 오전 7시30분께 원남면 진현리에서 죽은 상태로 쓰러진 개체를 발견했다. 이후 해당 지역 사단은 3시간여 추가 수색을 벌여 3마리의 폐사체를 더 발견했다. 이 가운데 1마리는 백골화가 진행된 상태에서 지뢰지역에 놓여 있어 시료를 확보하지 못했다.

환경부는 이번 검출 지역이 민통선 안으로 지뢰지역이 혼재된 곳임을 고려해 국방부,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현장 여건에 맞는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방역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