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英가디언 "브렉시트 협상 시한, 내년 6월 연장 가능성"
英 가디언, 추가 연기 가능성 제기
EU 예산안 투표 감안해 일정 전망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보수당 연례 전당대회 참석에 앞서 맨체스터 인근 샐퍼드에서 BBC 방송의 시사프로그램 '앤드루 마 쇼'에 출연하고 있다. 존슨 총리는 이날 오는 10월 31일 무슨 일이 있더라도 브렉시트(Brexit)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유럽연합(EU)이 오는 31일(현지시간) 예정된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시한을 내년 6월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도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EU는 현재 영국과 진행 중인 협상이 합의에 도달하기 어려운 만큼 영국의 브렉시트 시한 연장 요청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요청에 어떻게 대응할지로 EU 내 관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브렉시트 시한은 내년에 예정된 2021~2027년 EU 예산안 투표 일정 등을 감안해 6월까지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 EU 소식통은 내다봤다. EU 예산안은 27개 회원국이 동의해야 채택되며, 회원국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EU는 영국이 EU 예산안에 반대하는 등 발언권을 행사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EU 예산안 관련 투표가 내년 6월까지 이뤄질 가능성은 작다는 전망이 짙기 때문에, 브렉시트 시한도 이때까지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영국 의회는 자국 정부가 EU와 합의하지 못하면 보리스 존슨 총리가 브렉시트를 내년 1월 31일까지 3개월 추가 연기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킨 바 있다. 그러나 존슨 총리는 아무런 합의 없이 탈퇴하는 '노 딜 브렉시트'가 되더라도 오는 31일 무조건 EU를 떠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존슨 총리는 최근 브렉시트 합의안의 핵심쟁점인 '안전장치'(backstop) 폐지를 뼈대로 하는 브렉시트 대안을 EU에 제시했으나 EU는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따라 '노 딜 브렉시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안전장치'는 EU 탈퇴 이후에도 영국을 당분간 EU 관세동맹에 잔류시키는 조치를 일컫는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