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빅딜 원해”, 상무부는 中기업 제재…홍콩·탄핵도 무역협상 변수로
미중 실무협상 당일 블랙리스트 발표…“위구르족 등 인권 침해”
트럼프 “中, 홍콩사태 인도적 해법 찾아야” 경고…탄핵도 무역협상 변수
[AP]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 재개를 목전에 두고 중국 기관 및 기업 28곳을 제재목록에 올렸다. 무역협상과는 별개의 조치라는 주장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빅딜’을 위해 대중 압박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의 핵심 요구사항 중 일부를 제외한 ‘스몰딜’을 추구하고 있는 데다 홍콩 사태, 트럼프 대통령 탄핵 조사 등의 변수가 있어 무역협상이 이번에도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 상무부는 7일(현지시간) 중국 신장 지역의 이슬람 소수민족 처우와 관련해 신장 위구르 자치지역 인민정부 공안국과 감시카메라 제조업체 하이크비전 등 총 28개 중국 기관과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다고 블룸버그통신, 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대상은 신장 위구르 자치지역 인민정부 공안국 및 19개 산하 기관과 하이크비전, 다화 기술, 아이플라이텍, 메그비 기술, 샤먼 메이야 피코 인포메이션, 이씬 과학기술 등 8개 기업이다. 이들은 미국 정부의 승인 없이는 미국이나 미 기업으로부터 부품 등을 구매할 수 없게 된다.

미 상무부는 이날 관보에서 “이들 기관·기업들은 신장의 위구르족, 카자크족을 비롯해 다른 이슬람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의 억압과 대규모 임의 구금, 첨단 감시 등의 이행에 있어서 인권 침해와 유린에 연루됐다”고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조치가 이날 시작된 미중 실무 협상에 이어 10일 재개되는 고위급 협상과는 별개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중 무역협상에서 주요 의제를 모두 포함한 ‘빅딜’을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백악관에서 열린 미·일 무역합의 서명식에서 ‘중국과의 부분적인 무역합의를 수용할 의향이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것은 우리가 선호하는 게 전혀 아니다. 내가 선호하는 것은 이번 가을까지 빅딜을 이루는 것”이라고 답했다.

또 “미중 관계는 매우 좋다. 좋은 가능성이 있다”고 낙관론을 펴면서도 홍콩 사태를 무역협상의 변수로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인도적 해법을 찾길 희망한다”며 “중국이 홍콩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나쁜 일을 한다면 미국과의 협상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블룸버그는 “블랙리스트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경제 전쟁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평했다.

톰 올리크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제 ‘미니딜’의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