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초 vs 광화문, 거리정치 된 여야싸움
- 의회 민주주의는 없고 ‘거리 세대결’만 남은 국회
- 상대 집회 참석 국민 향해선 날선 비판하는 여야
- 與 “동원된 사람들” 野 “한줌 안되는 조국 세력”
- ‘저쪽보단 많아야 한다’ 과열로 치닫는 거리집회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 개혁 촛불 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여야대립의 무대가 국회에서 ‘거리’로 옮겨가고 있다. 줄곧 장외집회를 해온 자유한국당 등 야권 위주의 거리정치가 집권여당 지지세력에게까지 번지면서다. 하루 걸러 하루 사이로 각 진영별 대규모 집회가 열리면서 여야는 조국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한치 양보없는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에 의회 민주주의를 흔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오는 5일 서초동에서는 다시 한번 촛불집회가 열린다. ‘검찰개혁, 조국수호’가 골자다. 지난달 28일에도 서초동에선 ‘조국수호 촛불집회’가 열렸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200만명 이상이 모였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지난 3일 광화문에서 ‘조국퇴진’이라는 구호가 터져나왔다. 한국당은 집회 참석 인원을 300만명 이상으로 추산했다. 일주일 내에 조 장관을 둘러싼 찬반 집회만 세번 열리는 셈이다.

정반대 성격의 집회가 연달아 열리자 거리 정치가 과열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측에서 서초동 집회를 고리로 조 장관 수호, 검찰개혁에 힘을 올리면서 광화문 집회 참석 규모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한국당 측에서는 서초동 집회 직후 “우리는 더 모으겠다”는 주장이 흘러나왔다. 집회가 진영 간 세대결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5일 서초동 집회에도 이에 자극을 받아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생겼다.

전국대학생연합 주최로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앞에서 열린 조국 법무장관 사퇴 촉구 촛불집회 참가자들이 LED 촛불과 함께 손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에서는 집회와 관련 당차원의 직접적인 개입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우회적 지원은 아끼지 않고 있다. 의원들이 개인 입장으로 집회에 참석하기도 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홍보도 하고 있다. 특히 서초동 집회 자체에 민주당이 검찰개혁의 근거라는 의미부여를 하기 시작하면서 국회의 눈길이 집회로 옮겨갔다는 얘기가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이제는 물러설 수 없는 규모 대결이 된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집회를 대결 중심으로 두다보니 참석 국민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민주당은 광화문 집회에 참석한 사람을 겨냥해 동원됐다고 비판했다. 이해식 대변인은 논평에서 “한국당이 전국적으로 총동령을 내려 만든 집회”라고 했다. 반면, 한국당은 서초동 집회 참석자들을 ‘한줌도 안되는 조국 수호세력’이라고 규정하고 비난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어제 우리는 상식과 양심, 합리적인 국민이 여전히 절대 다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치평론가인 박창환 장안대 교수는 이와 관련 “국회의 무능으로 나타난 현상이다”며 “국회에서 정치적인 해결을 하지 못하니 ‘거리의 정치’가 된 것”이라고 했다. 이어 “결국 세대결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고 혼란만 남았으며 우리 사회의 이념 양극화를 또 드러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렇게 여론이 5 대 5로 나뉜 상황이야말로 대화와 타협이란 국회 내 정치력이 힘을 발휘해야 할 때인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