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뜬구름잡는 ‘산불위험예보’··· ‘낮음’ 등급 산불 발생 건수 ‘매우 높음’ 등급보다 6배 더 많아

[헤럴드경제(대전)= 이권형기자] 산불위험예보가 묻지마식 예보에 불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부산 해운대을)이 산림청의 산불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산불위험예보 ‘낮음’ 등급에서 발생한 산불 건수가 ‘매우 높음’ 등급에서 발생한 산불보다 6배 더 많았다고 2일 밝혔다.

산불위험예보시스템에서 산불위험등급은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 4단계로 나뉜다.

산림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2019년 8월까지 발생한 산불 2795건 중 ‘높음’ 등급에서 발생한 산불은 1256건으로 44.9%였으며, ‘낮음’ 등급이 771건(27.6%)으로 뒤를 이었다. ‘매우 높음’ 등급은 125건으로, 4.5%에 불과했다. ‘보통 이하’ 등급과 ‘높음 이상’으로 나누면 ‘보통 이하’ 등급에서 산불발생률이 50.6%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시스템이 산불 발생 원인과 관련한 데이터를 반영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예보시스템은 기상 여건이나 숲의 모양, 지형적 위험성을 고려해 산불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이에 따라 등급을 매긴다.

그러나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 쓰레기 소각 등 산불의 주요 원인과 관련한 데이터는 반영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산림청은 산불위험예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소각산불징후예보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지만, 이 데이터를 산불위험지수 산정에 반영하지는 않고 있다.

윤준호 의원은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의 정확도는 ‘높음’과 ‘높지 않음’ 반반의 확률”이라며 말하며, “소각산불징후예보와 같이 예측 불가능한 부분을 보완하는 데이터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윤의원은 “국립산림과학원의 ‘산불취약지도’에는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 등 원인별로 어느 지역에 산불이 집중됐는지 나와 있다”며 자료들을 예보에 활용토록 촉구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