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운전면허증 성별 ‘X’ 표기를 허가합니다
美 ‘제3의 성’ 인정하는 州 늘어

미국에서 남성도 여성도 아닌 ‘X’성(性)을 허용하는 주(州)가 점차 늘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몇 달 안에 최소한 6개 주가 운전면허증에 성별을 X로 표기할 수 있게 허가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X성은 남성이나 여성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국한시키기 어려운 사람들이 선택하는 성별 표기다. 앞서 2년 전 오리건주가 처음으로 운전면허증에 X표기를 허용한 뒤 현재 8개 주와 워싱턴DC가 이를 도입했다.

WSJ은 뉴욕시와 9개 주가 출생증명서에 ‘제3의 성’(nonbinary) 표기를 할 수 있게 했다고 전했다.

기업들도 X성 도입에 나서고 있다. 항공사들은 티켓에 남성과 여성 외에 중립적인 표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마스터카드는 성전환자를 위해 신용카드에 본래 이름 대신 스스로 만든 이름을 넣을 수 있게 했다.

X성은 미국 대선 이슈로까지 떠올랐다. 2020년 대선 경선에 나선 민주당의 엘리자베스 워렌, 피트 부티지지, 코리 부커 후보 등은 연방정부가 여권과 다른 신분증에 제3의 성을 표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UCLA 법과대학의 윌리엄스 연구소가 2016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약 0.6%(140만명)의 미국 성인이 성전환자다. 미국의 비영리 연구기관인 퓨리서치센터는 올해 초 Z세대의 약 3분의 1, 그리고 밀레니얼세대의 절반 가량이 성중립적 대명사를 알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발도 적지 않다. 공식적인 정부 문서에 개인의 성 선택을 반영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신원 확인과 의료 목적으로 생물학적 성별 표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보수성향 법률단체의 매트 샤프 수석변호사는 “X성 도입은 성별에 따른 질병과 기대수명을 연구하는 정부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고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해 고안된 법 시행에도 차질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학교에서는 이제 X성이라고 밝힌 학생들에게 새 운동 종목과 (남자도 여자도 아닌) 새로운 구분을 제공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