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OLED 승부수 던진 LG디스플레이, ‘OLED TV 1000만대 시대’ 주도
-중국 광저우 OLED 패널 공장 준공…파주와 투트랙 생산체제 구축
-중국 시장 공략으로 ‘올레드 대세화’에 박차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LG디스플레이가 중국에 대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공장을 완공하고, 본격적인 현지 생산에 돌입했다. 경기도 파주 공장과 투트랙의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프리미엄 TV 시장경쟁에서 지배력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29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첨단기술산업 개발구에 위치한 LG디스플레이 하이테크 차이나(LG Display High-Tech China Co., Ltd, LGDCO)의 8.5세대(2,200mm x 2,500mm) OLED 패널 공장 준공식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LG디스플레이 하이테크 차이나는 LG디스플레이와 광저우개발구가 70:30의 비율로 투자한 합작사로 자본금은 2조6000억원이다.

이번에 준공한 8.5세대 OLED 패널 공장은 축구장 10개 크기인 7만4000㎡(약 2만2000평) 대지 위에 지상 9층, 연면적 42만7000㎡(약 12만9000평) 규모로 조성됐다. 2017년 7월 첫 삽을 뜬 이후 2년여의 공사기간을 거쳐 8월 본격 양산에 돌입했다.

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8.5세대 OLED 공장 전경.[LG디스플레이 제공]

기존 LCD 패널공장과 모듈공장, 협력사 단지 및 부대시설 등을 합하면 LG디스플레이 광저우 클러스터는 총 132만㎡(약 40만평)에 이른다.

앞으로 광저우 8.5세대 OLED 패널 공장에서는 고해상도의 55, 65, 77인치 등 대형 OLED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LG디스플레이는 월 6만장(유리원판 투입 기준) 생산을 시작으로, 2021년에는 최대 생산량인 월 9만장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파주 OLED 공장에서 월 7만장 규모로 생산중인 물량과 최근 3조원 추가 투자를 발표한 월 4만5000장 규모의 파주 10.5세대 OLED 공장이 2022년 가동하면 연간 1000만대 이상 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 한상범 부회장은 이날 환영사를 통해 “광저우 OLED 공장이 가동함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는 OLED TV 수요에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해졌다”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해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OLED 대세화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한상범 부회장이 29일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LG디스플레이 하이테크 차이나 준공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LG디스플레이 제공]

이번 광저우 공장 가동으로 경기도 파주와 함께 대형 OLED 생산의 투트랙 체제를 구축한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패널 시장에서의 경쟁사들과 격차를 확실히 벌린다는 계획이다.

그 동안 LG디스플레이는 OLED 개발부터 생산, 판매까지 완결형 체제를 구축, 이를 바탕으로 LCD에서 10년 걸리던 ‘골든 수율(양산품 비율이 90% 이상)’을 3년만에 달성한 바 있다. 광저우 OLED 공장에도 이같은 생산 노하우를 접목시켜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파주 10.5세대 OLED 공장인 P10 공장까지 가동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처럼 LG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 패널 생산량 확대에 나선 것은 OLED 패널에 대한 수요 증가와도 궤를 같이 한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2020년 550만대의 OLED TV 판매가 이뤄지고, 2021년 710만대에서 2022년에는 100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OLED TV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2013년 20만대에 불과했던 대형 OLED 패널 판매량은 2018년 290만대를 돌파했고, 올해는 380만대에 이를 전망이다.

공급 측면에서도 2020년에 미국 최대 TV업체인 비지오가 합류하면 OLED TV 세트업체 진영은 한중일을 비롯한 전 세계 15개사가 참여하게 된다.

무엇보다 중국 OLED TV 시장의 급성장이 두드러진다. IHS마킷에 따르면 중국 OLED TV 판매량이 올해 17만대에서 2020년에는 45만대로 고속성장기에 접어들어 2021년에는 70만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중국에는 LG전자를 비롯해 소니, 하이센스, 스카이워스, 창홍, 콩카, 필립스 등 고객사의 TV 공장이 있다. 그 중에서도 광저우는 선전의 콩카와 스카이워스, 중산의 창홍 등 광둥성 지역 내 LG디스플레이 고객사의 TV 공장과도 가깝게 자리잡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에 투자한 것도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고, 고객사에게 필요한 기술을 신속하게 지원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함이다. 대형 OLED 판매량 증가에 따라 LG디스플레이는 올해 대형 OLED 사업에서 사상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업계 관계자는 “대형 TV 시장을 아직 LCD 기반의 TV가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LG디스플레이의 과감한 투자는 중국의 저가 LCD 패널 공세에 맞서 ‘올레드 대세화’를 주도하면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더 높이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