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中과 조만간 재협상 시작…합의할 것으로 생각"
'적'으로 칭했던 시진핑에 '위대한 지도자' 칭찬
對中관세 유예 가능성엔 "무엇이든 가능하다"
日자동차 관세에 대해선 부정적 의사 표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복귀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다며 곧 협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난주 '적'이라고 비난했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위대한 지도자'라고 칭찬하며 이번 협상에서 합의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로이터와 AFP 통신 및 백악관 풀기자단에 따르면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양자회담 도중 중국 관리들이 전날 밤 미국 측에 전화를 걸어 "협상 테이블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매우 큰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중국이 우리의 고위 무역 담당자에게 전화해 다시 협상하자고 말했다. 이는 세계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긍정적"이라고 자평했다.

중국이 먼저 전화했다는 점을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가 모두 두 차례 이뤄졌다며 "매우 매우 좋은 통화였고, 매우 생산적인 통화였다. 그들은 진지하다"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이러한 태도에 대해 "대단히 존경한다"며 "그들이 위대한 것은 인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기 때문"이라고 추켜세웠다.

그는 중국이 협상 복귀 의사를 밝힌 만큼 "우리는 조만간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며 "중국과 매우 진지하게 대화를 시작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합의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DPA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제 우리가 합당한 조건에서 협상하는 만큼 합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중국)이 협상을 정말로 원하는 것을 보기는 처음"이라며 "매우 긍정적인 움직임"이라고도 설명했다.

지난 23일 트위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적'이라고 비난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말을 바꿔 "그는 이해한다. 그래서 시 주석이 위대한 지도자"라고 칭찬했다.

시 주석과 직접 통화했느냐는 물음에는 "말하지 않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관한 추가 성명이 나올 것이라며 기자들을 가리켜 "당신들이 원할 테니 기자회견을 하겠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정상회담 자리에서도 중국의 태도 변화를 언급하며 흡족함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이처럼 먼저 손을 내민 배경에 대해 "미국은 잘하고 있는데 반해 중국은 일자리가 수백만 개씩 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봐라, 그들은 수많은 일자리를 잃고, 다른 나라로 가고 있다"면서 "내가 중국이라면 협상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예고한 대중 관세를 유예할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 "무엇이든 가능하다"며 추가 관세 부과 결정을 번복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 매우 의미 있는 대화를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면서 "솔직히 그 어느 때보다 훨씬 더 의미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가장 큰 이유는 우리 (경제)가 너무나 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미국이 이번 협상에서 유리한 상황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협상에서 그 어느 때보다 좋은 위치를 점한다고 본다. 이 과정(미중 무역전쟁) 없이는 여기까지 오지 못했을 것"이라며 "우리는 협상에 있어 더 강한 자리에 있으며 모두를 위해 더 공정한 협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열린 기자회견서 일본의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줄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내가 왜 그래야 하느냐"라고 반문하며 그럴 의사가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일본)은 우리에게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보내는데 기본적으로 비관세다"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백악관 풀기자단이 전했다.

그는 일본과의 무역협상과 관련해 일본이 협상을 원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우리는 35년간 모든 사람이 훔쳐 가던 돼지저금통 신세였으나 (이제는) 우리가 카드를 쥐고 있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