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도시문제 해법 국제 경쟁형 R&D로 찾는다
‘서울 글로벌 챌린지’ 시작…서울지하철 미세먼지 저감방안이 첫 도전과제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이 혁신기술을 보유한 전 세계 기업과 대학, 연구소의 기술과 아이디어 각축장이 된다.

서울시는 국적과 관계없이 글로벌 혁신가들의 경쟁을 통해 서울이 당면한 도시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는 국제 경쟁형 연구개발(R&D), ‘서울 글로벌 챌린지’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경쟁형 R&D’는 하나의 주제를 두고 여러 연구 기관이 서바이벌 프로그램 처럼 경쟁하면서 우승을 가린다. 최근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요가 증가하면서 세계 주요 도시에선 단일 주제·단일 연구기관 R&D에서 벗어나 이처럼 개방적인 경쟁형 R&D로 전환하는 추세다. 국내 지자체로선 서울시가 처음으로 시도한다.

시는 ‘서울 글로벌 챌린지’를 거쳐 최종 우승한 제품과 솔루션에 연구비를 지원하고, 공공구매해 실제 시정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 대회를 지속적으로 열어, 세계 첨단기술과 인재가 교류‧협업하며 도시문제의 혁신적인 해결 솔루션을 도출하는 ‘테스트베드 도시’로 자리매김한다는 목표다.

시는 첫 번째 도전과제로 ‘서울지하철 미세먼지 저감방안 도출’ 주제로 21일 공고 했다. 총 상금은 7억5000만원이며, 2020년 2월까지 6개월 간 진행된다. 즉시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혁신기술 발굴을 목표로,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산학연 컨소시엄, 대학생, 개인 등이 국적과 관계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지하철 터널, 승강장, 전동차 등 총 3개 공간 중 1개를 선택해 해당 공간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제품이나 솔루션을 제안하면 된다. 1단계 서면 평가와 면접을 거쳐 거르고, 2단계로 실제 지하철 터널(6호선 효창공원역 등 5개역)과 승강장(6호선 이태원역 등 10개역), 전동차 내부(2호선)에서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검증받는다. 현장 평가와 함께 시민평가단 평가도 받는다. 이어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미세먼지 저감효과, 경제성, 기술혁신성, 설치 적합성, 실행성 등을 종합 평가해 최종 우승팀을 선정한다.

종합우승 1팀에 서울특별시장상과 함께 5억원의 상금을 준다. 준우승 1팀은 상장과 1억원의 상금, 공간별(터널, 승강장, 전동차) 우승팀 각 1팀은 상장과 상금 5000만원을 준다.

서울시는 이번 챌린지를 통해 검증된 우수 제품과 솔루션에 대해 1년간 시제품 개발비와 멘토링 등종합 지원하고, 이후 공공구매해 서울지하철에 적용할 계획이다.

내년 2월 6일에 열리는 ‘2020 미세먼지 엑스포’에서 수상 제품과 솔루션을 공개하고, 시상도 한다.

참가를 희망하는 팀은 9월 9일부터 11월 22일까지 ‘신기술접수소(www.seoul-tech.com/seoulglobalchallenge)’에서 제안서를 내면 된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해외 선진도시를 추격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없다. 서울시는 첨단기술과 혁신 인재가 모여드는 테스트베드 도시를 구축해 혁신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서울의 성장판을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