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슈미르, 이슬람 무장단체 소굴 우려”
WSJ “IS 등 재기 발판될수도”

인도 정부가 카슈미르 지역(잠무-카슈미르주)의 자치권을 박탈하는 등 헌법상 특별 지위를 불허한 뒤 현지 이슬람 주민들의 반발이 날로 거세지고 있다. 자칫 알카에다나 이슬람국가(IS)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조직이 혼돈을 틈타 이 지역을 재기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단 우려가 나오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불만에 찬 카슈미르와 파키스탄의 극단주의자들이 알카에다나 이슬람국가(IS) 같은 초국가적 무장조직에 이끌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전날 뉴욕타임스(NYT)는 카슈미르 지역의 일부 마을 원로들은 수십 명의 젊은이들이 떠났다면서 이들이 저항단체에 가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그 배경엔 군사적 대응도 불사해야 한다는 자국 내 강경파의 목소리와 극단주의 무장조직을 단속하라는 국제사회의 압력을 동시에 받고 있는 파키스탄 정부의 고민이 있다.

파키스탄은 인도가 카슈미르 지역의 자치권을 박탈한 뒤 인도와 교역 중단, 특사 추방, 유엔의 대응 촉구 등의 대응책을 내놨다. 반면 군사적으로는 ‘어느 정도 조치’를 취할 것이라곤 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사이 인도는 사실상 계엄령이나 다름없는 통제 를 지속하고 있다.

WSJ은 파키스탄 정부가 그간 인도를 상대로 한 무장조직의 활동을 용인해왔다고 지적했다.

파키스탄 내 무장조직과 관련된 한 인물은 WSJ에 “지금 파키스탄 젊은이들은 알카에다와 IS를 찾고 있다”며 “카슈미르가 인도에서 IS로 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