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상인·투자자 北에 눈독…대북 제재가 걸림돌
WP “단둥 상인들, 대북 제재 중단 고대”
트럼프-김정은 화해로 향후 北 투자 물결 예상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중국 투자자와 상인들이 북한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지만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워싱턴포스트(WP)는 8일(현지시간) 북한의 접경 지역인 단둥(丹東)의 상인들이 대북 제재 중단을 고대하고 있다면서 “상인들은 북한으로 돌진할 준비를 하고 있지만 (대북) 제재가 그 길을 가로막고 있다”고 보도했다.

단둥의 투자자 및 상인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화해가 언젠가 투자의 물결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동산업체 단둥중카이국제개발은 “평화와 번영, 거역할 수 없고 돌이킬 수 없는 추세”라는 광고판을 내걸며 미래 투자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 전시장은 광고에서 “중국과 북한 간의 경제 및 무역 협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중국은 북한의 항구, 부두, 철도, 도로, 교량 건설을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6~2017년 장거리 미사일 발사 및 핵실험에 대한 응징으로 유엔(UN)이 북한에 부과한 제재 완화에 동의할 것이라는 데 베팅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경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며 제재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중국도 대북 제재 완화를 압박하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6월 말 일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에 대한 “유연성을 보여달라”고 촉구했고, 회의 후 중국 외무상도 대북 제재의 “적시” 완화를 주장했다.

투자자 장모 씨는 “북한 도처에 사업 기회가 있다”며 “그들은 생활 환경을 개선 할 사회기반시설(인프라)이나 용품 등이 없다. 따라서 북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사업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과 수년간 거래해온 중국 기업 달리비전은 “북한 경제는 위대한 도약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단둥은 북한 수출의 90%가 이뤄지는 관문 도시다. 대북 제재로 직격탄을 맞은 현지 상인들은 “상업로가 끊겼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해산물 등 일부 품목은 다른 선박을 경유해 밀수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