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언론 놀래킨 한국 불매운동 “이번엔 장기화 이례적”

일본 정부의 대한 무역 규제 강화 조치에 대한 반발로 펼쳐지고 있는 국내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장기화 양상을 보이자 일본 언론이 연일 심층보도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지난 25일 서울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나선 참가자들의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이운자 기자] 일본 언론들이 한국 내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관련 과거 사례와 다르게 이례적으로 장기화 양상을 띠고 있는 것에 대해 심층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30일 ‘일본 불매, 한국에서 확대’란 제목의 기사에서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강화에 반발하는 한국 내 움직임을 자세히 소개했다.

요미우리는 일본 경제산업성이 지난 7월 1일 반도체 소재 품목의 한국 수출 규제를 발표한 뒤 인터넷에 ‘일본 불매운동에 동참하자’는 내용과 함께 대상 기업 리스트가 올라온 것이 시작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어 전국중소유통업자협회 등 27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가 지난 5일 불매 운동 참여 입장을 표명한 뒤 전국 매장에서 일본 제품을 자진 철거하는 움직임이 퍼졌다고 전했다. 특히 요미우리신문은 이번 불매운동이 과거와는 다르게 이례적으로 장기화 양상을 띠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한국 소비자의 참여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며 불매운동에 참여한다는 응답률이 이달 10일 48%, 17일 54.6%에서 같은 달 24일에는 62.8%로 상승했다는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도 덧붙였다.

또 한국갤럽의 지난 23~25일 조사에선 일본 제품 구매에 “주저한다”는 응답률이 80%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연합뉴스 보도 등을 인용해 지난 1~25일 기준으로 전월 같은 달 보다 일본 맥주 매출은 48%, 라면은 33%, 화장품은 21% 각각 줄고, 일본 여행 예약자(하나투어 기준) 수도 8일 이후 하루 평균 55% 급감했다고 전했다. 또 유니클로 매출은 약 30%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요미우리는 이번 불매 운동에 한국 정부(청와대)는 직접적인 지원이나 비판을 하지 않은 채 관망하고 있다고 했다.

또 일본 정부가 한국 주력산업인 반도체를 겨냥한 수출 규제를 가해 가뜩이나 취업난에 시달리던 젊은이들의 불매운동 동참이 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고 소개했다.

요미우리는 또 올해가 ‘3·1 독립운동’ 100주년을 맞는 해여서 반일감정이 높아진 것도 불매운동 확산의 한 배경이라면서 ‘독립운동은 못 했지만 불매운동은 한다’는 구호까지 등장했다고 전했다.

한편 아사히신문도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여파로 지자체 교류 중단, 일본산 불매운동 확산, 방일 여행객 급감 등 경제, 문화 및 스포츠 영역에도 악영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yi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