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한국 백색국가 제외 D-3]수출규제 3개→1112개 품목…재계 대응책 마련 고군분투

일본이 내달 2일 수출 심사 우대국인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할 것이 확실시되면서 재계는 대응책 마련에 고군분투하고 있다.

화이트리스트 배제로 일본의 수출규제가 지난 4월 발동된 3개 품목(폴리이미드, 레지스트, 불화수소)에서 1100여개로 늘어나면 우리 산업계 전반이 사정권에 들어가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일본 정부는 내달 2일 관련 시행령 개정안을 각료회의에서 결정한 뒤 8월 말 한국을 화이트 국가에서 배제할 예정이다. 한국이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되면 식품과 목재를 제외한 총 1112개 품목이 수출 규제 적용을 받게 된다. ▶관련기사 3면

특히 화학, 기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일본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인 품목이 48개에 달해 한국 경제 성장에 위협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장비 의존률 90%…반도체 업계 공급선 다변화 총력전=가장 긴박하게 움직이는 곳은 반도체 업계다. 화이트리스트 배제가 현실화해 수출규제 추가 품목에 실리콘웨이퍼나 반도체 제조 장비가 포함되면 말 그대로 직격탄을 맞게 된다. 작년 기준 한국이 수입한 실리콘웨이퍼(반도체 기판)의 일본 의존률은 52.8%, 레지스트(감광액) 도포 장비는 무려 98.7%에 달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협력사에 일본산 부품의 90일치 재고 확보를 요청하는 등 컨틴전시 플랜(비상경영 계획)을 가동 중이다. 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국내산을 포함해 중국과 대만산 불화수소 테스트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또 일본 의존률이 80~90%인 반도체 장비가 규제 대상에 포함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신규공장 건설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어 미래 성장에 급제동이 걸릴 것을 우려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 경기도 화성에 극자외선(EUV) 공장과 중국 시안 2공장, 평택 2라인을 건설 중이고 SK하이닉스는 이천 M16 공장과 용인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 역시 전체 수입 장비 중 82.9%가 일본산이어서 우려가 크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턴 형성과 건식각기 등은 100% 일본산으로 알려졌다.

▶LG화학 5000억원 투자 공장 건설…베터리도 파장 촉각=일본의 2차 제재 주요 타깃으로 거론되는 배터리 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 배터리의 90%를 차지하는 핵심 소재에 대해서는 일본 의존도가 크지 않지만, 파우치필름 등 주변 소재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분리막 등에서 일본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핵심 소재 내재화율을 지속적으로 높여 왔다. 한국과 중국 업체 등 공급선을 다양화해 온 만큼 현재로서는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LG화학은 양극재 내재화를 위해 최근 경북 구미에 5000억원을 투자해 양극재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반면 파우치필름 등 원가 비중은 10% 미만으로 낮지만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주변 소재에 대한 수급이 타격받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파우치필름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감싸는 역할을 하는 소재로, 현재 일본 DNP와 쇼와덴코가 전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제재가 3개 품목에서 1100여개로 늘어난다면 파급효과가 훨씬 커질 것”이라며 “수입 행정절차가 까다로워지면 행정비용이 올라가고 수입을 지양하게 되면서 연쇄 효과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 화이트리스트 배제 이후에도 일본이 앞으로도 정교하게 품목을 골라서 규제할 가능성이 있어 더 우려된다”고 말했다.

천예선·이세진 기자/cheon@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