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최근 1년 퇴사율 평균 18%…‘1년차 이하’가 절반
-사람인 576개 기업 설문…1년차 이하 48.6% 가장 많아
-퇴사사유 1위는 ‘이직’…기업들 “직원 공백에 업무차질” 고충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기업들의 최근 1년간 평균 퇴사율이 2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플랫폼 사람인이 30일 기업 576곳을 대상으로 ‘퇴사율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최근 1년간 평균 퇴사율은 17.9%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 결과보다 0.9%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퇴사율이 가장 높은 연차는 ‘1년차 이하’가 48.6%로 가장 많았다. 이어 2년차(21.7%), 3년차(14.6%), 5년차(5.1%) 등의 순으로, 연차가 낮을수록 퇴사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1년차 이하의 최근 1년 간 평균 퇴사율은 27.8%로, 이는 전체 직원의 평균 퇴사율 보다 9.9%포인트나 높았다.

퇴사자들이 밝힌 퇴사 사유로는 이직(41.7%·복수응답)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업무 불만’(28.1%), ‘연봉 불만’(26.2%), ‘잦은 야근 등 워라밸 불가’(15.4%), ‘복리후생 부족’(14.8%), ‘상사와의 갈등’(14.6%) 등이 많았다.

퇴사자가 가장 많은 직무는 ‘제조·생산’(20.9%)이었으며, ‘영업·영업관리’(16.3%), ‘고객 서비스’(12.6%) ‘IT·정보통신’(6.9%), ‘연구개발’(6.3%) 등이 꼽혔다.

퇴사율이 높아지는 원인은 ‘연봉 등 처우가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45.1%(복수응답)로 첫 손에 꼽혔다. ‘과도한 업무량과 잦은 야근’(27.8%), ‘회사의 비전이 불투명함’(27.1%), ‘회사 실적과 재무상태 악화’(18.8%), ‘장기근속 혜택 부재’(17.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높아지는 퇴사율에 기업들도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직원 공백으로 인한 업무 차질’(78.5%·복수응답)이 꼽혔고, ‘조직 내 사기 저하’(48.6%), ‘대체 인력 채용으로 비용 발생’(32.6%), ‘해당 팀 성과 하락’(15.3%), ‘입사지원자가 적어짐’(13.2%) 등의 고충을 겪고 있었다.

한편, 응답 기업들 중 85.4%는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 별도로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워라밸 확보 위한 정시퇴근’(38.4%·복수응답), ‘근무환경 개선’(37%), ‘복지혜택 확대’(36.6%),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30.7%), ‘인력 충원으로 업무 강도 완화’(27.2%), ‘장기근속자 포상’(18.1%)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