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교육부, 백석대 등 3개 대학 종합감사 착수
학생 등록금으로 지은 대학 건물을 종교재단 본부로 사용
8월12일부터 종합감사…법인·입시·회계 총체적 조사
백석대 전경.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설립자 1인이 세운 대학 3곳이 동시에 교육부 종합감사를 받는다.

백석예술대와 백석대가 서울 강남의 고층 건물을 부당하게 주고받아 종교재단 배를 불렸다는 의혹으로 교육부 감사를 받게 됐다. 교육부 과장급 실무자가 학교와 유착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교육부는 학교법인 서울백석학원 산하의 백석예술대와 학교법인 백석대학교 산하의 백석대·백석문화대 등 총 3개 대학에 종합감사를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교육계에 따르면 전공대학(전문대학 학력인정 교육기관)인 백석예술대는 2014년 ‘제3캠퍼스’라며 서울 서초구 방배동(남부순환로)에 7층짜리 건물을 지었다.

이 건물은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대신총회 본부’ 건물로 쓰이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대신총회는 백석예술대·백석대와 관계가 깊다. 백석총회 초대 총회장이자 백석대신총회 초대 통합총회장인 장종현 목사가 서울백석학원과 백석대학교의 설립자다.

백석예술대는 이 건물을 2016년 12월 백석대와 교환했다. 백석예술대가 이 신축 건물을 주고, 백석대가 방배역 인근의 한 건물에 현금을 보태주는 방식이었다.

백석대는 이 건물을 교환받은 직후인 2017년 1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대신총회에 다시 넘겼다.

백석예술대가 학생 등록금 등을 모아서 지은 건물이 2년여 만에 재단 소유 건물이 된 셈이다.

당시 교육부 담당자인 사립대학제도과장 A씨는 이 과정을 모두 허가해줬다. A씨는 지난해 8월 교육부를 퇴직했다.

최근 교육부는 2016∼2017년 이뤄진 이 건물의 교환 및 허가 과정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포착했다.

전공대학 관리·감독을 맡는 평생학습정책과에서 정기 실태 점검을 하던 중, 교지(校地)로 볼 수 없는 토지가 교지로 보고된 점 등이 수상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백석예술대가 해당 건물을 애초에 지을 때 들인 비용을 공시지가 등과 비교하면 상당히 적은 금액을 받고 교환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종합감사로 들여다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감사에서 건물 교환 및 허가 과정의 적법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또 당시 교육부 사립대학제도과장이었던 A씨가 학교나 재단 측과 유착한 정황은 없는지도 살필 계획이다.

백석예술대 측은 “감정평가 등을 거쳐 건물을 적법하게 교환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이들 3개 대학이 다른 회계 부정은 없는지, 입시·학사나 인사·채용 비리는 없는지 등 대학 운영 전반에 대해서도 종합감사할 계획이다.

감사는 내달 12일부터 2주 동안 진행된다. 합동감사단과 시민감사관 등 전문 감사 인력 27명이 투입된다.

백석대 설립자인 장종현 총장은 특정 건설업체에 학교 공사를 몰아준 다음 공사대금을 부풀려서 일부를 되돌려받는 수법으로 약 60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2012년 기소된 바 있다. 1심은 무죄를 선고했으나 2심·3심은 징역 3년형을 내렸다.

그는 2016년 대통령 특별사면을 받은 뒤 2017년 8월 제7대 총장으로 다시 선임돼 백석대 총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