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화수소’의 정확한 표기는 ‘플루오린화 수소’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연합]

[헤럴드경제=박승원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로 문제가 되는 반도체 소재 ‘불화수소’부터 작년 5월 ‘라돈 침대’ 사태를 불러온 폐암 유발 물질 ‘라돈’까지 화학 용어는 학계뿐 아니라 이제 일상에서도 흔히 쓰거나 접하는 말이 됐다. 하지만 부정확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아 관련학회 등이 개선작업에 나서고 있다.

대한화학회는 2017년 5월부터 2년여간 화학 용어를 정리해 ‘네이버 화학백과’에 표제어로 500건을 공개했다.

대한화학회는 1946년 7월 설립되었으며 약 7000명의 화학자 및 화학 교사를 회원으로 둔 국내 대표적 학술단체다.

화학백과 집필은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를 비롯 학회 소속 30여 명의 화학자가 작업을 진행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2017년 네이버가 ‘정확한 정보를 담은 사전을 내자’며 대한화학회에 집필을 요청해와 흔쾌히 수락했다고 말했다.

화학뿐 아니라 수학, 물리학, 생물학 등 국내 12개 학회도 네이버와 협약을 맺고 집필을 진행하고 있다.

화학회는 올해 가을 표제어 500건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표제어 당 A4 용지로 한 장 이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불화수소의 경우 학술어로는 ‘플루오린화 수소’라고 해야 한다. 대한화학회는 이런 내용을 백과 첫 줄에 녹여 넣었다. 백과에는 플루오린화 수소가 의약품과 고분자의 원료로 쓰이며, 초고순도 가스의 경우 반도체 제조 과정에 활용된다는 것도 정리돼 있다.

이 교수는 “인터넷에 검증 안 되거나 과학분야의 전문용어들이 엉터리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에 우리 나름대로 전문적인 정보를 정리하고 개선하고자 노력했다”고 전했다.

한편, 각 학회가 정리한 표제어를 보면 이달 기준 수학백과에서 2천48개, 물리학백과에 1천618개, 천문학백과 101개, 기상학백과 225개, 해양학백과 338개, 지질학백과 997개, 분자세포생물학백과 969개, 생화학백과 790개, 미생물학백과 998개, 식물학백과 500개, 동물학백과 324개 등 총 9천408개(화학백과 포함)이다.

pow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