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물보건사 양성·터널에 농장…농식품부, 10대분야 고용 창출
ICT 결합 스마트팜·축사 등 확대

정부가 수의사 진료를 보조하는 동물보건사와 반려동물 훈련지도사(가칭) 국가 자격 신설 등 새로운 사회경제적 트랜드에 맞춰 유망 농식품 분야 일자리 발굴에 나선다.

또 청년 오너세프 등이 주방·매장·고객을 공유하는 창업공간(공유주장) 조성을 지원하고 농촌인력중재센터를 통해 구인처 간 일자리 연계를 확대한다. 특히 농업일자리는 청년농을 중심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식품·농촌 분야에서 유망한 10대 분야를 적극 지원해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겠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분야는 ▷스마트 농축산업 △ 청년 농업인 육성 ▷농축산 서비스 산업 ▷농식품벤처·신산업 ▷수출시장 개척 ▷치유·휴양 산업 ▷기능성 식품 등 식품 산업 고도화 ▷외식산업 외연 확장 ▷로컬푸드 체계 확산 ▷농촌산업 육성 및경제활동 활성화 등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림축산식품 분야(연관산업 포함) 종사자 수는 488만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약 18%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 고용에서 중요한 분야다. 따라서 농식품부는 스마트 농업, 치유·휴양, 기능성 식품, 가정간편식 등 새롭게 성장하는 분야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늘리겠다는 목표다.

우선, 정보통신기술과 결합한 농축산업이 활성화되도록 온실 외에 노지 스마트팜과 스마트 축사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역 특화 노지 스마트 농업 시범단지’를 조성하고, 터널이나 지하 공간 등 유휴시설을 활용해 인공광 이용 실내 농장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수의사 진료를 보조하는 ‘동물보건사’를 신설하고, 전문 해충방제업을 활성화하는 등 농축산 서비스산업 활성화에도 힘을 쏟는다.

지역별로 복합 산림레포츠단지를 조성하고, 펫시터와 펫시터중개업 등 반려동물관련 서비스 업종을 늘린다. 반려동물 훈련지도사 국가자격을 신설하고, 동물미용자격을 국가공인화해 치유·휴양 산업도 활성화한다. 특히 펫푸드 전용 표시기준과 인증제를 마련해 시장 확대 기반을 닦고, 간편식 시장 확대와 맞물려 국가식품클러스터 내에 가정간편식 연구센터도 만든다.

농식품부는 주세 종량세 전환에 대응해 우리 술 고급화와 다양화에도 나서기로 했다. 프리미엄 막걸리·와인을 개발하고자 술 품질인증제를 개편하고, 국산 농산물사용 확대를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외식산업에서는 최근 주목받는 ‘공유주방’의 사업 구조 다변화를 지원해 외식상품과 경영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가치관과 소비방식 변화 등의 흐름이 농업·식품·농촌 분야에 미치는영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트렌드 변화를 반영해 새롭게 성장하는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되고 다른 분야에서 줄어든 일자리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