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軍 테러대비에 집중…北어선 사태는 대비책 마련 '수습모드'
-국방장관, 8일 테러대책위원회 참가
-최근 불거진 IS가입 논란 논의할 듯
-北어선 '셀프귀순' 사태는 수습모드
-신형 해상레이더 9월부터 추가배치
해군 함정이 해상작전을 실시하고 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북한 어선의 삼척항 입항 사건으로 경계감시 작전의 허점을 드러낸 군 당국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 군함을 추가 배치하는 등 보완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최근 불거진 군 병사 출신의 국제 테러단체 IS(이슬람국가) 접촉 논란 대응을 본격화한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8일 오후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국가테러대책위원회에 참가할 예정이다.

앞서 테러방지법 및 군용물 절도 혐의로 박모(23)씨가 입건된 것으로 4일 알려졌다. 박씨는 IS를 추종하고 이른바 ‘자생적 테러’를 준비한 혐의로 입건돼 군경의 합동조사를 받고 있다. 그러나 박씨는 "호기심에서 한 일"이라며 범행 의도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방부는 최근 국회 국방위원회에 '북한 소형목선 관련 보완대책'을 보고했다. 이 대책에 따르면, 군은 현재 NLL 일대에 중형 및 대형함 1척을 추가 배치하고, 해상초계기와 해상작전헬기 초계 횟수를 늘리는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해군은 이와는 별도로 신형 해상레이더인 ‘GPS200K’ 10여대를 오는 9월부터 2025년까지 동, 서, 남해 등 전국 레이더기지에 순차적으로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의 해안경계시스템은 감시장비를 조기에 업그레이드하고, 레이더 식별능력을 전문화하는 방향에 초점이 맞춰졌다.

국방부는 또한 대대급 UAV와 열상감시장비(TOD)-3형 등 전시 운용되는 지상작전사령부 예하 일부 감시장비를 해안경계용으로 전환하고, 신형 해안감시레이더를 조기 전력화하겠다고 밝혔다. TOD 종류는 2형, 3형이 있으며 3형만이 24시간 주야간 감시를 할 수 있다. 8㎞ 떨어진 지점에서 사람을 식별할 수 있고, 15㎞가량 떨어진 위치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올해 안에 40대가량의 TOD 3형을 앞당겨 추가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방부는 레이더 식별능력 강화 조치와 관련, 인력 보강 및 전문화 교육체계 구축, 기지별 자체 훈련용 신형 시뮬레이터 설치, 해안 영상감시장비 감시구역및 운용시간 재조정 등의 후속 과제를 마련했다. 야간에만 운용돼온 TOD는 24시간 운용 체제로 이미 전환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상감시 UAV(무인항공기)를 전방 전진기지로 전개해 운용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군은 이와 관련, 무인 헬기 형태의 ‘캠콥터 S-100’을 정보수집 및 해상 경계작전 임무 등 다중 목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이 장비는 길이 3m, 무게 150㎏ 규모로, 실시간 영상 촬영과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육군 군단급 부대에 배치된 UAV ‘송골매’ 등을 해안 감시 임무에도 투입되도록 하고, 수집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2000년대 초 군단급에 배치된 정찰용 UAV 송골매는 작전반경이 100㎞에 달하고, 체공 시간은 4∼5시간이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