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기업 돈줄 말리기 나선 日, 정부 "다른 곳서 얼마든 조달" 불꽃 신경전
국내에 풀린 일본 은행 자금 21→18조…당국, 상황 점검 착수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 3일 참의원 선거에 앞서 진행된 토론회에서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에 대해 약속을 지키지 않는 국가에는 우대조치를 취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사진=로이터]

[헤럴드경제]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수출규제에 나선 일본이 자금 회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계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거나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국내 기업의 돈줄을 말리겠다는 심산이다. 금융당국은 "일본이 돈을 안 빌려줘도 얼마든지 다른 데서 돈을 빌릴 수 있다"며 신경전 대응에 나섰다.

7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과 미쓰이스미토모(SMBC), 미즈호(MIZUHO), 야마구찌(Yamaguchi) 등 4개 일본계 은행의 국내 총여신은 18조2995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9월말 기준 21조817억원에서 2조7822억원 줄어든 수치다. 국내 금융시장에서 일본계 자금 회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9월 기준으로 보면 일본계 은행의 국내 여신은 전체 외국계 은행 국내 지점의 총여신 77조9000억원의 27.1%에 달한다. 중국계 은행(34.3%)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한국 금융시장에서 일본계 은행의 입지가 작지 않다는 의미다. 본국에서 저금리로 자금 조달이 가능한 일본계 은행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금리를 제공하므로 기업 입장에서도 매력 있는 자금원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한국에서 회전시키는 일본계 자금의 규모나 속도를 줄일 소지가 다분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존 대출의 만기 연장을 거부하거나 신규 대출을 줄이는 등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일본계 은행이 당장 움직이지 않겠지만 일본의 수출규제는 한국의 금융시장에도 서서히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일본 현지에서 영업 중인 우리 기업들의 신용 위축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일본계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거나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국내 은행이나 기업의 유동성 상황 역시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본 금융권이 자금 세탁 등을 핑계로 송금 제한 등 행위에 나설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금융 분야로 확산한다손 치더라도 일본계 자금이 100% 모두 끊길 것 같지는 않다"면서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자금을 차환하는 과정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나라가 흔들릴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 역시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달리 지금 우리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이 안정돼 있어 일본이 돈을 안 빌려줘도 얼마든지 다른 데서 돈을 빌릴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