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남기 "日수출규제는 명백한 경제보복…굉장히 유감스럽다"
"WTO 제소 비롯한 상응조치 반드시 취할 것"
"해외 의존도 높은 부품 등 국산화 추진"
4일부터 日수출 규제 시작…화이트 국가 리스트에도 빠질 전망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한국수출입은행에서 2019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연합]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해 유감스럽다고 입장 표명을 하는 동시에 '명백한 경제보복'이라고 비판했다. 일본이 규제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상응한 조치를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일본은) 신뢰가 깨졌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강제징용에 대한 사법 판단에 대해 경제에서 보복한 조치라고 명백히 판단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일본은 이날부터 한국의 주력 수출 제품인 반도체·스마트폰·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자국산 소재·부품에 대한 수출 규제에 나선다.

아울러 외국환 및 외국무역관리법에 따른 우대 대상인 '화이트(백색) 국가' 리스트에서 조만간 한국을 뺄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보복 조치는 국제법에 위반되기에 철회돼야 한다"며 "만약 (수출 규제가) 시행된다면 한국 경제뿐 아니라 일본에도 공히 피해가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부총리는 일본이 규제 조치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비롯한 상응한 조치를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20개국(G20) 오사카 정상선언 취지에 반하는 내용"이라며 "이러한 조치를 일본 정부가 취한 것에 대해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해결이 안 되면 당연히 WTO 판단을 구해야 하기에 내부 검토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실무 검토가 끝나는 대로 (제소)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WTO 제소 결과가 나오려면 장구한 세월이 걸리기 때문에 유일한 대안이 될 수는 없다"며 "국제법·국내법상 조치 등으로도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부품·소재·장비 등을 국산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관련 예산이 필요하다면 임시국회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심의에서 반영을 논의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전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2.5%로 낮춘 것과 관련해서 홍 부총리는 "일본의 규제 조치를 반영한 것은 아니다"며 "앞으로 전개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추가 하향 요인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kwat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