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화문 채운 분홍·초록색 물결...노동자 4만명 "학교 비정규직 철폐하라" 주장
임금 정규직 80%, 비정규직 정규직화 주장
3일 시작으로 오는 5일까지 총파업 결의
파업참여 총 9만여명, 6000개 학교 달할듯
3일 오후 1시 광화문광장에서 학교비정규직(교육공무직) 총파업대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에는 주최측 추산 4만명의 교육공무직들이 나왔다. [사진=김성우 기자/zzz@heraldcorp.com]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3일 총파업을 선언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단체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가 광화문광장에서 약 4만여명의 조합원이 참여하는 집회를 가졌다. 이날 연대회의 측은 "학교비정규직의 정규화와 공정임금을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연대회의 측은 이날 결의문을 통해서 "촛불대통령을 자임하며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을 내세웠던 정부 여당이 태도를 바꿔 약속을 저버리고 최저임금 동결을 주장하고 있다"면서 "대통령과 교육감은 공정임금제, 비정규직 정규직화 약속을 이행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대회의 측은 문재인 대통령 임기(2021년 회계년도 까지) 학교비정규직의 임금을 정규직의 80% 수준으로 맞추는 공정임금제 실현, 교육공무직의 교직원화와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올해년도 6.24%의 임금인상율, 오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매년 최저임금 수준의 인상율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 단상에 나선 지도부는 대정부 요구안에 힘을 보태는 모두발언을 했다. 안명자 교육공무직본부 본부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전국의 17개 교육청 교육감들은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화 정규직 그리고 공정임금제를 이야기했다"면서 "아이들이 잘사는 세상을 위해선 교육공무직이 잘사는 세상이 있어야 한다.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은 학교교육의 주체다. 주체로서 행동으로 노동의 가치를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한연임 학교비종규직노동조합 광주지부 지부장도 "학교에서 일하는 영어회화 전문강사, 스포츠강사 , 미화·당직·시설·사감 등이 우리 조합원"이라면서 "조합원들이 함께 차별과 어려움 속에서 총파업 대오에 함께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했다.

앞서 연대회의 측과 각지역 17개 교육청은 임금협상, 비정규직 정규직화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렬됐다. 정부와 교육청은 연대회의 측의 요구안에 난색을 표하며 기본급 1.8% 인상 외에는 요구안을 수용거부하겠단 입장이었다.

연대회의는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조,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등 3대 단체로 구성된 단체다. 연대회의는 이날을 시작으로 오는 5일까지 총파업에 돌입했다. 주최측은 전국의 총 9만명의 노동자, 6000개 학교가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