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길용의 화식열전] 금리인하 국면…주식 vs 채권 수익률은?

한국과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한껏 높아졌다. 경기가 안 좋아서다.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하고 위험자산 비중을 늘려야할까? 아니면 경기 부진이 확인됐으니 안전자산으로 피해야할까?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부터 최근(6월12일)까지 주식(KODEX200)과 채권(KODEX국고채3년) 수익률을 비교해봤다. 누적수익률은 주식 108.09%, 채권 39.09%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된 2012년 이후로 따지면 결과가 좀 달라진다. 주식 24.58%, 채권 23.1%다.

연간 수익률로도 2009~2018년 10년간 승부는 5:5로 팽팽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된 2011년 채권이 4.52%로, -10.97%인 주식을 크게 따돌렸다. 양적완화가 계속된 2012년 주식이 11.08% 반등했지만, 채권은 4.49%라는 꽤 높은 수익률로 선전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기준금리는 계속 내렸고, 채권은 2.48%, 5.19%, 3.12%의 수익을 냈다. 반면 주식은 0.36%, -6.8%, 0.16%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우리 증시에서는 외국인이 중요하다. 이들은 2009~2010년 무려 54조원의 주식을 사들이더니, 2011년 8조원을 순매도했고, 2013~2015년에도 누적으로 4.6조원을 순매수하는 데 그쳤다. 2016년과 2017년 주식이 10.53%,27.16% 반등한 데는 사상 유례없는 반도체 호황에 따른 외국인 자금이 18조원 순유입된 덕분이 컸다. 하지만 지난 해 외국인은 다시 5조7000억원을 순매도했다.

채권 수익률이 주식을 이겼던 2011년, 2013~2015년, 2018년에는 외국인이 주식을 5조원 미만으로 순매수하던지, 순매도했다. 올들어 지난 12일까지 외국인 주식 순매수는 약 4조8000억원이다. 지난 5월초 8조원을 넘었던 점을 감안하면 한달 새 급감했다. 최근의 기업실적 전망을 고려할 때 하반기 중 획기적으로 늘어나기는 어려워 보인다. 반면 지난 5월 외국인은 10조원 이상의 채권을 순매수했다. 역대급이다.

최근 채권시장 분위기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5%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열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 3년만기 국고채 금리가 1.5% 아래로 떨어졌지만, 더 내려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주식은 2100 아래인 코스피가 전고점인 2250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기업 이익전망의 반전이 중요하다. 자칫 상황이 나빠지면 2000선 아래(전저점 1980선)으로 밀릴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투자판단이 어려울 때는 예상보다는 대응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주식보다 채권이다. 사실 확장적 통화정책을 하더라도 경기가 살아날 지는 미지수다. 풀린 돈이 생산적인 곳에 쓰여야 부양 효과가 나타난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도 경제 구조개혁을 거듭 강조했다. 우리 경제의 문제는 구조적 한계 탓이 크다.

풀린 돈이 갈 곳이 마땅치 않다면 부동산으로 쏠릴 수 있다. 여전히 부자들은 돈을 더 빌릴 여력이 충분하다. 규제를 피해갈 ‘머리’도 비상하다. 지난 초저금리에 가장 주목받았던 자산도 미국은 IT관련 주식이었지만, 국내에서는 단연 부동산이었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