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헝가리 입원 생존자 만난 강경화 장관 “안정적이나 쇠약…병원치료 더 필요”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나흘째인 1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 머르기트 다리 위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조기(붉은 원내)가 걸려 있다. 이 조기는 이날 오전 부다페스트 시청에서 추모의 의미로 머르기트 다리 위에만 게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운자 기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 유람선 사고에서 극적으로 구조된 후 입원한 60대 생존자의 귀국이 당분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강경화 외교장관이 밝혔다.

1일(현지시간)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생존자 이모(66) 씨가 입원해 있는 병원을 방문해 그를 격려했다.

이 씨는 강 장관에게 조기 퇴원과 귀국을 희망한다는 뜻을 나타냈다. 현지 의료진에 따르면 이 씨의 상태는 안정적이지만 퇴원과 비행기 여행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되지는 않았다.

이 씨를 만난 후 강 장관은 취재진에 “언제쯤 퇴원할 수 있을지를 말하기는 어려운 상태”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장기간 여행과 사고로 신체가 많이 쇠약해진 상태”라면서 “거의 말씀을 못 하실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국에서 도착한 가족의 보살핌으로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 장관은 “구조된 분들과 가족이 원하는 대로 지원이 이뤄지게끔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씀드렸다”고 했다.

입원 생존자 방문에 앞서 실종자 가족들을 만나 위로한 강 장관은 이날 오후 항공편으로 귀국한다.

이 씨 등 한국인 관광객 30명과 가이드 3명 등을 태운 유람선 ‘허블레아니 호(號)’는 지난달 29일 밤 9시 5분께 뒤따르던 크루즈 선 ‘바이킹 시긴’으로부터 추돌을 당한 후 순식간에 전복된후 침몰했다. 사고를 낸 크루즈 선은 이후 생존자 구조 등의 구호 조치없이 배를 정상 운항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사고로 현재까지 한국인 7명이 숨지고 19명이 실종됐으며 7명만 구조됐다. 함께 배를 탄 헝가리인 선장과 승무원등 2명도 실종된 상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