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신속대응팀 "다뉴브강 수중드론 투입 시도했으나 실패"
-사고 지점 물살이 거세 실패

-수중탐색 중지하고 수상수색에 집중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에서 한국 관광객 탑승 유람선을 추돌한 후 30일(현지시간) 강변에 정박한 크루즈선 ‘바이킹 시긴’(Viking Sigyn).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한국과 헝가리 당국은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의 현장 수색을 위해 사고지점에 수중 드론(무인탐지기)을 투입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또한 한국 측 신속대응팀이 측정한 사고 지점의 수심은 8.1∼9.3m로 기존에 헝가리 측이 파악한 6m 내외보다 더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합동신속대응팀의 현장 지휘관인 송순근 육군대령(주헝가리대사관)은 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송 대령은 “오스트리아, 체코, 노르웨이에서 소나(수중음향표정장치)와 수중드론을 가져왔는데 수중 드론은 유속이 너무 빨라서 투입에 실패했다”고 말했다.

신속대응팀은 수중 드론을 침몰한 선체의 선내 수색을 위해 투입하려고 했지만 다뉴브강의 사고 지점 물살이 워낙 거세 실패했다.

송 대령은 또한 소나를 통해 새롭게 침몰 유람선의 형태를 파악했다고 전했다.

그는 “기존의 이미지보다 화상이 좀 더 좋다”면서 “내부를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겉으로 보기에 선박의 방향이 좀 틀어진 것을 확인했다”고 했다.

정부 신속대응팀은 사고지점 강물의 유속이 5∼6㎞/h로 매우 빠르고 수중 시계 확보가 어려워 수중탐색은 중지하고 현재 수상수색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 대령은 “수상수색은 헬기와 보트, 경비정 등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면서 “오늘 헝가리 재난관리청 헬기에 우리 요원이 탑승해 사고지점에서 50㎞ 하류까지 가면서 강 양측의 나뭇가지들이 걸려있는 곳들을 위주로 살펴봤다”고 전했다. 수상 수색결과 현재까지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고 한다.

대응팀은 강물의 수위가 내려갈 가능성이 큰 오는 3일 아침까지는 일단 잠수부를 투입하지 않고 이후 헝가리 측과 협의한 뒤 선내 수색을 시도할 계획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