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일부 “北 장마당 지표 제한…식량지원 필요하다는 입장”
-“北식량사정, WFPㆍFAO 발표가 객관적”
-김연철 장관 대북지원 의견수렴 행보 지속

통일부는 15일 북한이 극심한 식량난 속에서도 쌀값은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관측과 관련해 장마당 가격에는 여러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면서 여전히 대북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북한 주민들이 씨 뿌리기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정부는 북한이 심각한 식량난 속에서도 쌀값은 안정적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대북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쌀값이 최근 6개월 가까이 하락세라는 관측에 대해 “장마당 가격은 어떻게 보면 공식기관이나 공식기구에 의한 가격이 아니다”며 “장마당 가격에 대해 정부가 평가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앞서 북한 쌀값을 정기적으로 조사해온 데일리NK는 평양의 쌀 11㎏ 가격이 작년 11월 5000원에서 계속 하락해 4월30일 기준으로 4000원대에 형성돼 있다고 전했다. 또 양강도 혜산은 5175원에서 4200원으로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변인은 “장마당 가격 결정에는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추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북한 체제 특성상 공식가격이나 공식기구가 아닌 지표를 가지고 추정하는 것은 여러 가지 제한이 있다”고 했다. 또 “북한 식량사정에 대해서는 최근 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북한 현지조사를 통해 발표한 결과가 공식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WFP와 FAO는 최근 북한 현지에서 공동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발표한 ‘북한의 식량안보 평가’ 보고서에서 올해 북한 식량사정이 최근 10년 사이에 최악으로 136만t의 식량이 부족하다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소한 바 있다.

통일부는 이와 대북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대변인은 “북한 식량사정이 심각하다는 국제기구 발표에 대해 정부는 북한 주민의 동태와 인도주의적 차원의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 국민적 합의와 지지, 공감대가 필요한 만큼 국민 의견수렴을 계속해서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연철 통일부장관은 지난 13일 데이비드 비슬리 WFP 사무총장을 접견한데 이어 14일에는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와 대북 인도지원단체 협의체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국내 7대 종단 연합체인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으며 15일에는 통일부 인도협력분과 정책자문위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연다.

이 대변인은 “정부는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다는 기본 입장하에 간담회 등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특별히 기간을 한정한 것은 아니고 국민의 지지, 공감대를 위해 계속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