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DMZ 유해발굴 현장서 프랑스군 인식표 발견
-프랑스 정부와 신원확인 계획

-4월부터 총 163점 유해 발굴


국방부가 지난 7일 DMZ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견한 프랑스군 전사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식표. [사진=국방부]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방부는 10일 “지난 주 DMZ 유해발굴작업을 통해 프랑스 군인 인식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남북은 4월부터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공동유해발굴을 하기로 했지만, 북한이 응하지 않아 한국군 단독으로 유해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군 전사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식표가 발굴됐다.

정부는 프랑스 측과 관련 정보를 공유해 신원 확인에 나설 계획이다.

우리 군 유해발굴단은 지난 7일 화살머리고지에서 전사자 유해발굴 작업 중 프랑스군 전사자(추정)의 인식표를 포함해 20여종의 각종 유품 240여점을 발굴했다.

프랑스군 인식표에는 ‘MOALIC. YVES, M RENNE C FRENCH’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른 DMZ내 유해발굴 과정에서 프랑스군 유품이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방부는 “앞으로 프랑스 측과 전사자에 대한 추가 정보 공유 및 인식표 등의 인도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8일에는 6.25 전사자의 정강이뼈 2점(크기 12㎝와 18㎝), 발가락뼈 3점(각 3㎝)가 지뢰 제거와 지면 굴토 과정에서 발굴됐다. 인근 지역으로 작업 범위를 넓혀 나가는 과정에서 추가로 28점의 유해를 수습했다.

9일에는 위팔뼈(크기 26㎝)와 아래팔뼈(23㎝), 정강이뼈(27㎝) 각 1점을 찾아냈다.

앞서 3일에는 정강이뼈(23cm), 아래턱뼈(6cm), 아래팔뼈(6cm), 허벅지 뼈(25cm)각 1점과 두개골 편 4점(각 5㎝)을 발굴했다.

국방부는 지난달 1일부터 현재까지 발굴한 유해는 총 163점이며,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식별된 유해는 71점에 달했다고 밝혔다.

화살머리고지에는 국군 전사자 유해 200여구, 미국과 프랑스 등 유엔군 전사자 유해 300여구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방부는 발굴된 유해는 유해발굴감식단으로 보내 신원 확인을 위한 정밀 감식과 유전자(DNA) 분석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