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웜비어 몸값’ 논란…조셉 윤 “청구서 서명, 트럼프 승인했을 것”
-폼페이오 “인질 석방 위해 돈 지급하지 않았다”
-北 일단 침묵…향후 비핵화협상서 제기 가능성

미국 내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뒤 엿새 만에 숨진 미국인 오토 웜비어의 석방 몸값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웜비어가 북한에 억류 당시 법원에 호송되는 모습.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미국 내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석방된 뒤 숨진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몸값 논란이 커지고 있다. 당장 미국의 인질 석방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위배되는 전례를 만들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여기에 북한이 향후 재개될 북미 비핵화협상에서 이 문제를 꺼내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017년 6월 평양에 들어가 웜비어를 데리고 나온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9일(현지시간)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석방 과정에서 200만달러(한화 23억원)를 청구했으며 자신이 서명했다고 밝혔다.

윤 전 특별대표는 당시 상관이었던 렉스 틸러슨 전 국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관련 지시를 받았느냐는 질문에 “북한에서 200만달러를 내야한다고 하자마자 상관이었던 틸러슨 장관에게 물어봤고 그는 ‘좋다. 어서 서명하라’고 빠르게 답변을 줬다”고 답했다. 그는 또 틸러슨 전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았을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도 “내가 알기로는 그렇다”면서 “내가 대통령에게 물어본 것은 아니지만 내가 알기로는 그렇다”고 답변했다.

윤 전 특별대표는 미국이 청구서에 서명한대로 북한에 200만달러를 지급해야하느냐는 질문에는 “서명을 했으면 지급을 해야하느냐의 문제인데 내 생각은 그렇다”면서 “서명했으면, 지급을 하겠다고 미 정부가 다른 국가 정부에 약속한 것이면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미 행정부 고위당국자들은 웜비어 석방 과정에서 북한에 지급한 돈은 없다는 입장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이날 의회전문매체 더 힐이 주관한 대담에서 “대통령은, 이 행정부는 어떤 인질 석방을 위해서도 돈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히 해왔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그렇게 할 의사가 없다”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26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어떠한 돈도 웜비어를 위해 북한에 지급되지 않았다. 200만달러도, 어떤 다른 것도”라고 강조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역시 28일(현지시간) 언론인터뷰에서 웜비어 석방 과정에서 북한에 지급된 돈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볼턴 보좌관은 그러나 미국이 북한이 제시한 청구서에 서명했다는 자체는 부인하지 않았다. 그는 북한이 돈을 요구했고 미 당국자가 서명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것 같다. 그렇게 들었다”고 답변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북한이 웜비어의 병원 치료비 명목으로 내민 청구서에 미국이 서명했다는 대목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이 돈을 지급할 의사가 없었더라도 청구서에 서명한 것이 사실이라면 인질 석방 대가 미지급 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이 불가피하다. 또 서명하고도 지급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신뢰 손상이라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더욱이 북한이 현재까지는 침묵을 지키고 있지만 향후 치열하게 전개될 비핵화협상 과정에서 이 문제를 하나의 지렛대로 삼으려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CNN방송은 소식통을 인용해 윤 전 특별대표에게 청구서를 건넨 것이 북한 외무성이고 외무성이 하노이 결렬 이후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두 차례 북미정상회담 때는 이 문제를 꺼내지 않았지만 어느 시점에 제기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2016년 1월 관광차 북한에 들어간 웜비어는 정치선전물을 훔치려 한 혐의로 체포돼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17개월 동안 억류됐다 2017년 6월13일 의식불명 상태로 풀려났지만 엿새 만에 사망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