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대통령 대북특사 파견하나...김상균, 천해성 카드 촉각
[연합]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 파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차 북미정상회담의 사전 수순으로서 남북 간 대화를 강조하고 있어서다. 문 대통령이 북미대화의 ‘촉진자’ 역할에 나선만큼 다음 수가 절실한 상황이다.

청와대는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시정연설 메시지를 놓고 13일 대북특사 파견 계획 등을 포함해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전날(12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2일차 회의에 참석해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우리와 공유할 방법론을 찾은 조건에서 제3차 조미(북미)수뇌 회담을 하자고 하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대북특사로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북한과 이뤄지는 대화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동일한 멤버가 문 대통령의 메시지를 들고 북한을 향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특사로 파견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왔으나 청와대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특사 파견을 통해 한미정상회담에서 확인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전하는 한편, 북한을 재차 비핵화 대화 테이블로 나오라고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가 제시할 수 있는 안으로는 ‘포괄적 합의와 단계적 이행’ 원칙에 입각한 영변 핵시설 폐기나 풍계리 핵실험장 검증 등 연속적인 ‘굿 이너프 딜’(충분히 괜찮은 딜) 등이 거론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