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길 잃은 바른미래…“비대위 꾸릴 힘도 없다”
안철수·유승민 역할론 또 고개

바른미래당이 4ㆍ3 보궐선거 참패 이후 길을 잃은 모습이다. 당장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마땅한 추진동력이 없어 이마저도 힘들 전망이다.

바른미래 핵심 관계자는 5일 “지도부가 선거 결과를 깊이 평가하고 있다”며 “당 진로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재환 바른미래 창원성산 후보가 선거에 고작 3.57%를 받은 후 위기론이 나오는 데 대한 답변이다. 바른미래 일부 전직 원외 지역위원장은 전날 “지금 바른미래에는 미래가 없다”며 지도부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다.

정치권은 바른미래가 비대위를 꾸리려고 해도 시작부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 손학규 대표를 대체할 인물을 찾기 어렵다. 당내 국민의당계와 바른정당계 간 화합적 융합이 옅다. 자칫하면 양 진영의 갈등 속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정치권 안팎에서 자원자는 커녕 당내 중진 인사들도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바른미래 관계자는 “인명진 새누리당(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도 계파 저항을 못이기고 사실상 불명예로 물러났다”며 “양 진영 간 기싸움에 권한도, 책임도 불분명할텐데 누가 짐을 지겠느냐”고 했다.

인물을 찾다보면 한때 한국당이 겪은 암담함에 빠질 수도 있다.

한국당도 김병준 비대위원장 체제가 들어서기 전 인물을 찾는 과정에서 곤혹을 치렀다. 100여명에 이르는 후보군 중 상당수가 제안을 거절하며 당이 희화화되고 있다는 비판도 받았다. 그래도 한국당은 고정 지지층이 있어 버틸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바른미래는 ‘텃밭’도, 고정 지지층도 없다. 지지율은 수개월째 5~7%에 갇혀있다. 인물난이 심화될 시 비대위 구성 준비단계에서 스러질 수 있다. 막상 인물을 추려내도 양 진영의 견제로 선임이 힘들 가능성이 있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