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성 교장·교감 43%…공공부문 ‘女 리더’ 지속 증가
‘…여성대표성 제고 5개년 계획’
국가직 과장급 여성비율 17.5%


교장ㆍ교감 여성 비율이 42%를 넘어섰으며 국가직 본부 과장급 여성 비율은 17%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공기관 여성 임원도 18%에 육박, 공공부문 여성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2018~2022) 5개년 계획’의 2018년 추진실적을 보고하면서, 2017년 대비 12개부문 모두 개선됐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 11월 수립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은 조직 구성원의 다양성 확보와 포용사회 구현을 위한 공공부문의 선도적 노력을 위한 것으로, 외국에서도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추진실적을 확인 결과 공공부문 관리자급 여성 비율이 증가하고, 여성의 의사결정 권한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직 과장급(4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은 2012년 9.3%에서 지난해 17.5%로 상승했다. 지방직 과장급(5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도 지난해 15.0%로 목표치 13.9%를 넘었다.

공공기관 임원 여성 비율은 2012년 8.6%에서 지난해 17.9%로 목표치(13.4%)를 크게 웃돌았다. 교장ㆍ교감 여성 비율은 2012년 24.6% 에서 지난해 42.7%로 뛰었다.

정부위원회 여성위원 비율은 2012년 25.7%에서 지난해 41.9%로 상승했다. 여성 군인 간부 신규임용도 2017년 6.5%에서 지난해 9.1%로 늘어났다. 일반경찰은 2017년 10.9%에서 지난해 11.7%로, 해경은 2017년 11.3%에서 2018년 12.0%까지 증가했다.

는 국가직 공무원 부문 여성 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해 여성 고위공무원이 없는 중앙부처에 한 명 이상 임용을 추진하고, 성차별 금지 등 범정부 균형인사 추진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올해 목표는 18.4%로 잡았다. 공공기관부문은 올해말까지 여성 임원이 없는 공공기관에 여성 임원 최소 1인 이상 선임을 독려하고, 전체 지방공기업으로 여성 관리직 목표제 적용을 기존 300인 이상 기관에 전체기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의사결정 영역에서의 성별 균형적 참여는 조직 내 다양성과 민주성, 포용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조직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된다”며 “이에 대해 공감대를 갖고 자율적으로 조직 내 성별균형성을 확보해 나가려는 민간부문에 대해서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greg@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