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직장내 성희롱 피해자 47% “회식장소서 발생”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직장 내 성희롱 문제는 주로 회식 자리에서 상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4월 6일부터 12월 27일까지 전국 공공기관 400곳과 민간사업체 1,200곳의 직원 9,304명, 성희롱 방지업무 담당자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일반 직원 가운데 지난 3년간 직장에 다니는 동안 한 번이라도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8.1%였다.

상대적으로 여성·저연령층·비정규직이 성희롱을 많이 당했다.

여성은 14.2%, 남성은 4.2%가 성희롱 피해를 당했다고 답했다.

피해자 연령은 20대 이하(12.3%), 30대(10.0%), 40대(6.0%), 50대 이상(5.0%) 순이었다.

정규직(7.9%)보다 비정규직(9.9%)의 성희롱 피해 경험이 많았다.

성희롱 유형은 ‘외모에 대한 성적 비유나 평가’(5.3%), ‘음담패설 및 성적 농담’(3.4%), ‘회식에서 술을 따르거나 옆에 앉도록 강요’(2.7%) 등이 다수였다.

성희롱 행위자는 대부분 남성(83.6%)이었고, 직급은 주로 상급자(61.1%)였다. 성희롱이 발생한 곳은 회식장소(43.7%)가 가장 많았다. 다음은 사무실(36.8%)이었다.

성희롱 피해자 81.6%는 ‘참고 넘어갔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아서’(49.7%), ‘문제를 제기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31.8%) 순으로 집계됐다.

조직의 문제해결 의지에 대한 신뢰가 낮고 2차 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성희롱 피해 이후 주변의 부정적인 반응이나 행동 등으로 또다시 피해를 경험한 사람은 27.8%에 달했다.

2차 피해를 가한 사람은 ‘동료’(57.1%), ‘상급자’(39.6%) 등이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