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미회담 열리는날…당정청 ‘역사 통일’ 추진
북한은 임시정부를 분파로 비판
전문가들 “양쪽 입장 기술도 방법”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역사와 정의특별위원회 제5차 당정청 정책토론회에서 강창일 위원장(오른쪽 세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27일 당정청은 ‘역사통일’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김일성 전 주석 중심으로 쓰인 ‘조선력사’ 역사관과 대한민국 역사관 사이의 틈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정부ㆍ여당 관계자들은 이번에 열지 못한 3ㆍ1운동 100주년 기념 남북공동행사가 무산된 이유도 역사관 차이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용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남북공동 독립운동 역사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당정청 토론회에 참석해 “임시정부와 독립운동을 둘러싼 남북 사이 견해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공동행사가 무산된 이유로) 북한은 북미회담 일정을 들지만, 속내에는 그 불편함이 들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정운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3ㆍ1운동 공동행사 참여 문제도 말했지만, 속에 있는 역사인식에 대한 차이를 말하지 못하면서 27일과 28일 열리는 북미회담에 신경 쓰기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판단”이라며 “탓할 것은 아니다. 이번 100주년 행사는 연중행사고, 다양한 행사가 열리니까 다음을 기약할 것”이라고 했다.

행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해 어떻게 북한과의 역사통일을 이룰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임시정부 전까지의 역사통일만을 일단 다루는 중재안, 역사연합안, 대화론 등을 소개했다. 북한에서는 임시정부를 비판의 대상으로 보는데다가 김 전 주석에 대한 특유의 신화적 해석이 강하기 때문에 완전한 역사 통일을 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신주백 한림대 교수는 “북한은 임시정부를 분파라고 본다”며 “그런 임시정부를 (기초로) 교류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김 전 주석을 중심으로 1926년을 현대사의 출발이라고 본다”며 “대한민국과 북한의 핀트가 맞지 않는 부분”이라고 했다. 그는 “역사 대화, 최소해법의 원칙에 입각해야 한다”며 “통일이라는 용어보다 공존으로 말하는 것이 평화 프로세스에 맞을 것”이라고 했다.

정태헌 고려대 교수는 “과거 북한이 스스로 말한 것이 3ㆍ1운동까지만 (역사교류를) 하자는 것”이라며 “북한도 풀어가는 입장에서는 머리를 쓰는 것”이라고 했다. 또 “역사에서의 ‘연합’ 개념도 생각할 수 있다. 두 입장을 다 쓰고 이에 대한 배경 설명을 해주는 것이 한 방편”이라며 “남북 역사인식의 완전한 통일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강창일 민주당 의원은 “남과 북의 독립운동 공동 역사연구의 큰 방향은 공존이라는 틀에서 추진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일부 다양한 역사에 대한 시각은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강 의원은 “실질적인 한반도 평화가 무르익어 가는 시점에 독립운동의 역사 역시 남북의 공동 연구를 통해 또 다른 평화의 축을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홍태화 기자/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