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기업부채 13조달러, ‘10년만에 2배’…금융위기 ‘폭탄’
2018년말 1경4560조원으로 신기록
규모 ‘급증’, 부채의 질 ‘악화’ 우려
3년 내 만기 4480조원…연준 보유자산과 비슷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전세계 기업 부채가 1경4560조원으로 역대 신기록을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돈을 쉽게 빌려주는 통화정책에 편승해 기업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난데다 상환력도 떨어져 경기가 악화하면 전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증폭시킬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5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 ‘통상적이지 않은 통화정책 시대의 회사채 시장’에 따르면, 2018년 말 현재 금융회사를 제외한 전세계 기업들이 채권발행의 형태로 보유한 부채의 총액은 13조 달러(약 1경4560조원)에 달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전에 비해 2배 가량 늘어난 규모다.

부채 가운데 4조 달러(약 4480조원)는 앞으로 3년 이내에 만기가 돌아와 갚거나 돌려막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만기가 임박한 이런 부채의 규모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보유자산과 비슷한 액수라고 지적했다.

회사채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계속된 초저금리, 양적 완화 기조에 따라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급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엔 연평균 8640억 달러(약 965조8000억원)가 증가했으나 이후에는 연평균 1조7000억 달러(약 1900조4300억원)로 증가 속도가 빨라졌다.

선진국 기업들의 미지불 회사채가 2018년 현재 전체의 79%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 규모는 2008년 5조9700억 달러(약 6674조원)에서 지난해 10조1700억 달러(약 1경1369조원)로 80% 증가했다. 신흥국 기업들의 미지불 회사채는 2조7800억 달러(약 3108조원)로 10년 전보다 395% 늘었다.

이 같은 증가세는 그 기간 부채를 토대로 고도 경제성장에 열을 올린 중국의 변화와 보조를 함께 한다.

금융위기 이전 중국의 회사채는 무시할 정도였으나 2016년에는 5900억 달러(약 659조6000억원)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문제는 기업부채의 규모가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부채의 질도 눈에 띄게 악화했다는 점이다.

투기등급 바로 위에 있는 투자적격 회사채가 전체 회사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4%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채권 소유자들의 권리도 확연히 감소해 시장에 위기가 닥치면 악영향이 증폭될 것으로 진단됐다.

뿐만 아니라 2008년과 비슷한 금융위기가 닥치면 정크본드(투자부적격 채권) 시장이 1년 안에 2740억 달러(약 306조3300억원) 규모나 부풀어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정크본드 시장으로 건너가게 될 회사채는 금융회사까지 포함하면 규모가 5000억 달러(약 559조원)로 늘어나게 된다.

OECD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 사이클과 비교할 때 회사채 시장의 리스크와 취약성이 심각하게 달라진 것”이라며 “경기 하강기가 닥치면 부채가 많은 기업은 이자를 갚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이런 상황은 결국 저투자, 채무불이행 증가로 이어져 하강기의 악효과가 증폭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OECD는 “주요 중앙은행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촉발된) 비상조치들을 최근 수정했다”며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도 회사채 시장에 영향을 계속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