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ㆍ18모독 논란, 3ㆍ1운동 100주년…힘 받는 여당發 역사전쟁
- 촛불혁명과 독립운동은 같아…집권 정당성 넓히기
- 한국당은 5ㆍ18 망언 논란으로 말할 엄두도 못 내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21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더불어민주당 한반도 새100년위원회 준비위에서 주최한 ‘3.1혁명과 대한민국의 탄생’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역사전쟁이 힘을 받는 모양새다. 3ㆍ1운동 100주년이 다가오는데다가, 자유한국당이 5ㆍ18 망언 논란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연일 당내 공식 행사 주제로 역사를 잡았다.

일각에서는 역사에 집중하는 민주당 내 기류를 북한 문제와 엮어 해석한다. 한반도 내 항일운동을 강조하면서 민족의 단일성을 부각시킨다는 것이다. 독립운동을 계승하는 정당의 이미지를 굳혀 정당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효과도 있다.

민주당은 25일 국회에서 ‘3ㆍ1 독립선언서 낭독 및 만세 재현’ 행사를 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 등 지도부는 이날 묵념한 뒤 돌아가며 독립선언서 국어본을 읽었다. 이 대표 등은 낭독을 마친 뒤 태극기를 들고 세번 만세를 외쳤다.

지난 21일에도 여당은 3ㆍ1절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열었다. 3ㆍ1혁명과 대한민국의 탄생이라는 주제였다. 심포지엄이 열린 날 당정청은 3ㆍ1운동 100주년 관련 사업 683개 중 104를 핵심사업을 선정해 차질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3ㆍ1 독립선언서를 한글판으로 만들어 배포하는 일 등이다.

역사운동을 펼치는 동시에 정부ㆍ여당은 3ㆍ1운동과 촛불집회가 동일 선상에 있는 ‘혁명’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집권의 정통성을 촛불, 나아가 독립운동으로 규정하는 셈이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전날 “3ㆍ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신은 지금도 살아있다”며 “이 정신을 훼손하는 세력은 심판을 받았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100년 동안에도 이 정신을 소중하게 지켜나가자”며 “100년 전 우리 선조가 벌였던 ‘촛불혁명’이었던 것”이라고 했다.

북한과의 공조도 강조했다. 정부ㆍ여당은 오는 3ㆍ1절을 맞아 남북공동 기념행사를 열고자 꾸준히 노력했다. 북한이 일정을 이유로 해당 행사를 거부하고서도 통일부는 “100주년과 관련한 기념행사 전체가 무산되는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고 했다.

반면, 한국당을 향해서는 역사왜곡 정당이라는 공세를 강화했다. 5ㆍ18 민주화 운동 모욕 논란 등이 고리다. 강병원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극우세력의 역사부정”이라며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앞서 ‘5ㆍ18 망언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이라는 이름으로 토론회를 여는 등 2월 내내 해당 이슈를 주도했다.

보수 정치권에서 앞서 주장했던 건국절 이야기는 이에 나올 엄두도 못 내는 상황이다. 5ㆍ18 모독 논란에 빠져 역사 문제에서 주도권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잘못 말했다가는 다시 한번 역풍에 휘말릴 수 있다는 불안감도 작용했다. 한 야권 관계자는 “건국절 지금 말했다가는 5ㆍ18과 묶여서 난리 날 수가 있다”고 했다.

정치 평론가인 박창환 장안대 교수는 이와 관련 “문재인 정부는 다르다는 의식의 표현이다”고 했다. 이어 “민주정부의 정통성과 역사를 바로 세우는 줄기의 흐름이다”며 “제2건국론과 비슷한 것”이라고 했다.

다만, 박 교수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과거만 말해서는 그것에 파묻혀 비전이 묻힐 수 있다”며 “같은 세대를 공유한 4050은 이해할지 몰라도 젊은 세대는 절대로 이해하지 못 한다”고 했다. 그는 “한국당 전당대회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 과거만 이야기해서 욕을 먹는데, 민주당이 과거에 과하게 집중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