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모도 안 한 독도 새 주민…1세대 후손들 “거주 희망” 잇단 입도 타진
지난해 지병으로 세상을 떠난 독도 주민 고(故) 김성도 씨의 생전 모습. [경북도]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지난해 독도 주민 김성도 씨가 세상을 떠나면서 누가 그 뒤를 이어 독도에 거주할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13일 경북도와 울릉군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독도 주민이자 이장인 김성도 씨가 사망한 이후 독도에 살겠다는 지원자 전화 문의가 이어졌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독도 1세대 후손들이 저마다 독도에 살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독도 최초 주민인 고(故) 최종덕 씨 딸인 최은채 씨는 울릉군에 공문을 보내 공식적으로 독도 거주 의사를 밝혔다.

최종덕기념사업회는 지난해 11월 초 “최 씨의 딸 은채 씨가 1979년부터 아버지와 함께 독도에서 13년간 생활한 경험이 있고 남편도 바다 생활에 필요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며 거주가 가능한지를 물었다.

또 일부 언론에서는 고인이 된 김성도 씨 둘째 사위인 김경철 씨도 독도 거주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울릉군 공무원이었던 김 씨는 아내, 장모 김신열 씨와 함께 독도에 살겠다며 지난해 12월 명예 퇴직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군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거주 의사를 전해 온 적이 없다고 밝혔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이들 독도 1세대 후손들이 저마다 독도 거주를 희망하고 있지만 이는 그들의 희망 사항일 뿐이란 입장이다.

공식적으로 고 김성도 씨 부인인 김신열 씨가 독도 주민인 만큼 추가로 다른 거주민을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독도의 서도 어업인숙소에는 주민이 살 수 있는 방이 1곳밖에 없다. 독도 전체가 천연보호구역이어서 건물을 증축하거나 새로 짓기도 어렵다. 현재 어업인숙소는 리모델링 중으로 4월 중순 공사가 끝난다.

어업인숙소는 해양수산부 소유로 울릉군 독도관리사무소가 맡아서 관리하고 있어 독도에 살기 위해서는 독도관리사무소와 사전에 협의를 거쳐야 한다.

독도관리사무소와 울릉군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김 씨가 힘들어서 그만 살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면 그때 누가 살지 논의 할 수는 있지만 현재로서는 거주와 관련, 협의하거나 결정한 사항이 전혀 없다는 입장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