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은 ‘서울답방’ 가시권…경찰 “언제 오든 경호·경비 철통”
-청와대 경호처는 근접경호ㆍ경찰은 원거리 경호로 전방위 지원
-육해공ㆍ도서지역 방문 가능성에도 총력

정부는 최근 북한에 3ㆍ1운동 100주년 남북 공동기념행사와 관련한 안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도 가시권에 들어오는 형국이다. 이에 경찰의 경비ㆍ보안 움직임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경찰은 역대 최고 수준의 경호 태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혹여나 있을지 모를 반대 집회 돌발 사태는 남한 내 남남갈등으로 번질 소지가 큰 사안이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 답방에서 경찰은 교통, 숙소 통제나 원거리 경호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한국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나 등 ‘정상급’ 인사의 근접경호는 청와대 경호처에서 전담했다.

8일 경찰 고위관계자는 “언제 어느 때 오더라도 만반의 준비를 다해 두고 있는 상태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 프란치스코 교황 등 국빈급 방한으로 경력 활용 노하우가 쌓여있다”며 “세부 방문일정과 동선 숙소 등이 정해지면 청와대 경호처와 협조해 최고 수준의 경비·보안 상태를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방남을 앞두고 일각에서는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 때 방남했던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사례도 거론된다. 김 위원장의 친여동생이기도 한 김 부부장은 지난해 방남 당시 머물렀던 숙소에 머리카락 한올도 남기지 않으며 혹시 새어나갈 수 있는 생체정보까지 완벽하게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해 방남 당시 청와대의 근접경호를 받았다.

또다른 경찰 고위관계자는 “정상급 인사의 방문을 앞두고 김 부부장 이상으로 전방위적 경호ㆍ경비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서울 답방 경호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방한 때와 마찬가지로 강경단체의 반대집회나 테러 등으로 위험 가능성을 통제하는 일이 큰 과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의 철통 경호는 도서와 육해공을 가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이 방남할 경우 예상 방문지에 제주도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엔 ‘한라산 방문’ 제안이 나오기도 했고, 지난해 12월에는 김 위원장의 서울 남산타워 방문에 청와대가 직접 개입했던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한 경찰 고위관계자는 “지방 동선이 생길 경우 평창 동계올림픽 때와 마찬가지로 주로 서울 경력을 활용해 경비를 설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 등 바다 밖 경비 상황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두고 내부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