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례신도시 불편 없도록…” 정부ㆍ지자체 상생 ‘행정협의회’ 시동
- 서울시ㆍ경기도ㆍ송파구ㆍ하남시ㆍ성남시 단체장 참여
- 종량제봉투ㆍ도서관 공동대출ㆍ대중교통 노선 등 논의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생활권은 같지만 행정구역이 3곳으로 나뉘어 주민 불편이 잇따른 위례신도시의 문제를 풀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뭉친다.
 
1일 서울시와 경기도에 따르면 정부와 지자체는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이르면 3월 말께 ‘위례신도시 상생협력 행정협의회’를 출범시킨다. 이는 2017년 11월 행정안전부, 서울시, 경기도가 이같은 목적으로 업무협약을 맺은 뒤 1년여 만이다.

행정협의회는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하남시ㆍ성남시 등 3개 기초자치단체장과 서울시ㆍ경기도지사 등 2개 광역자치단체장, 특별위원으로서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 장관이 참여한다. 협의회는 큰 틀의 협의체 기구로 연 1회 정기회의를 연다. 협의회가 구성되면 하부 조직으로서 교통인프라, 주민편의시설 설치 등 세부적인 문제를 도출하고 논의할 실무위원회가 꾸려질 예정이다. 또 지역 주민대표, 주택 관련 기관 등이 참여하는 상생주민협의체 구성도 검토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 달 열리는 서울시의회 임시회에서 위례신도시 상생협력 행정협의회 안건을 상정해 시의원들의 동의를 구할 예정이다. 송파구의회, 하남시의회, 성남시의회, 경기도의회 등 각 지자체 의원들의 동의 절차가 이어질 예정이다.

협의회 출범은 이르면 3월 말에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불편 민원이 잇따르자 2017년 11월 해당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은 뒤 각 지자체에 여러 차례 공문을 보내 협의체 구성을 권고해 왔다. 그 뒤로 협의회 구성까지 1년 이상 걸린 셈이다.

위례신도시는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하남시ㆍ성남시 등 행정구역이 3곳으로 나뉘어 대표적인 행정구역ㆍ생활권 불일치 지역으로 꼽힌다.

입주 초기부터 종량제봉투, 소방차, 택시 등 위례송파, 위례하남, 위례성남 등 행정구역 불일치로 인해 여러 혼선이 빚어졌다. 대표적인 것이 종량제봉투 문제다. 하남, 성남, 송파의 종량제 봉투가 가격ㆍ규격이 서로 달라 주소지에 맞는 종량제봉투를 구입하기 위해 집 앞 편의점을 두고 더 먼 곳에 있는 편의점을 가야한다는 등의 민원이 이어졌다. 서울에서 잡은 택시가 위례하남과 위례성남으로 이동을 꺼리는 일도 있다. 119소방차 출동 시 관할문제, 대중교통 노선 갈등, 도서관 등 문화시설 공동사용, 초등ㆍ중등학교 학군 등 그동안 노출된 여러 문제들이 한꺼번에 풀리는 물꼬가 트일 지 주목된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주민 생활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 지원하고 협력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실무 논의 과정에서 재원분담이 합의되지 않으면 결국 문제 해결이 지연될 수밖에 없을 것이란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