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보험사 ‘외화자산 환헤지’ 비상등
한미 금리역전…헤지비용 2.1배 
2013년이후 자산 100조 넘게 증가
당국은 “만기 불일치” 제재까지
장기로 돌리자니 추가비용…



보험사들의 외화자산 환헤지에 비상등이 켜졌다. 한미 간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한 뒤 환헤지 비용이 두 배 이상 폭증한 데다 금융당국이 환헤지 만기 불일치를 문제 삼아 제재키로 하면서다.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보험사의 외화자산은 2013년 말 약 32조원에서 지난해 6월말 134조3000억원으로, 불과 5년새 100조원 넘게 증가했다. 업권별 보유 규모는 생보사가 102조7000억원, 손보사가 31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보험사 총 자산 1125조원의 12%에 해당하는 것이다. ▶표 참조

외화자산이 이처럼 급증한 것은 “국내에는 만기 10년 이상의 장기 금융상품이 부족해 자산운용에 제약이 따른다”는 보험업계의 읍소에 “일리 있다”고 판단한 금융당국이 지난 2013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외화자산 취득 규제를 완화한 데 따른 것이다.

외화자산이 불어나면서 환율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한 환헤지 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데, 문제는 이 비용이 폭증하고 있다는 거다. 미국의 잇단 금리인상으로 인해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아진 탓이다. 금리의 차이가 발생하면 그 만큼의 환율이 변동한다는 게 금리평행이론인데, 이 이론이 적중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 뒤 원화가치가 떨어진 것. 이로 인해 환헤지 비용이 이전의 2배 이상으로 커졌다.

예컨대 2017년 64bp(0.64%)하던 3개월 만기 환헤지 비용은 지난해 134bp(1.34%)로 2.1배 증가했다. 1조원 규모의 외화채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예전엔 환헤지에 64억원을 썼지만 지금은 134억원을 써야 하는 셈이다.

환헤지를 둘러싼 보험사들의 고민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금융당국이 최근 외화자산의 만기와 환헤지 만기 간 ‘불일치’(미스매칭)를 문제 삼아서다. 당국은 매매목적으로 보유한 외화유가증권의 만기불일치를 우려하면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단기 환헤지를 장기 환헤지로 유도하는 게 목표다. 이럴 경우 보험사는 환헤지 비용을 더 부담해야 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15년, 20년 만기 외화채권이라면 1~2년 만기 환헤지 상품을 운용하는 것이 정상인데, 일부 보험사는 만기 6개월 미만 환헤지 상품만 과다 보유하고 있다. 만기연장(Roll-Over)이 안 될 경우 환 위험이 그대로 확정될 수 있어 단속이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실제 A보험사는 3개월 만기, 1년 미만 환 헤지가 각각 전체 환헤지의 70%, 20%를 차지할 정도로 단기 환헤지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한 보험사 관계자는 “환 헤지 만기 불일치에 대한 당국의 우려엔 충분히 공감한다. 환헤지 만기마저 길게 가져가면 기하급수로 비용이 늘어 자산운용수익률의 저하를 막을 길이 없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윤재섭 기자/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