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군 “일본 초계기 갈등, WPNS서 논의..4월 과장급 실무회의”
-WPNS 해상규범인 CUES 근거로 일본 초계기 위협비행 논의
-서태평양 다자협의체 WPNS, 2년 주기로 짝수년도에 열려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P-1 초계기 [사진제공=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방부는 4월 부산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계기 연합해상기동훈련에 일본이 참여할지 여부는 2월말에 결정된다고 28일 밝혔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ADMM-Plus) 해양안보 분과의 공동 의장국이 한국과 싱가포르”이라며 “4월 29일부터 5월 13일까지 부산 및 아세안 해역에서 (ADMM-Plus 계기) 연합 해상기동훈련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이 훈련과 관련해 일본을 포함한 참가국과 함정 등 참가전력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2월말 부산에서 최종 계획회의가 개최될 예정인데 그때 아마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과 아세안 국가 등도 참여하는 이번 연합 해상기동훈련은 공동의장국인 한국의 부산 앞바다에서 출발해 역시 공동의장국인 싱가포르까지 이동하면서 해적 퇴치와 수색 및 구조 등 해상 훈련을 하는 방식으로 계획되고 있다.

일본 초계기 위협비행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일본은 이 훈련을 계기로 한 해상자위대 호위함 ‘이즈모’의 부산항 입항 계획을 재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변인은 서태평양해군심포지엄(WPNS)의 해상규범인 ‘CUES’(Code for Unplanned Encounters at Sea)를 근거로 일본의 저공 위협비행 관련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에 대해서는“그 회의에서 이번 사안에 대해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필요성이 제기된다면 충분히 그 회의에서 논의를 해서 국제적인 규범이라든가 관례를 결정하는 것이 앞으로 이와 같은 사태의 재발방지를 위해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WPNS는 서태평양 지역 해군 간 해양 안보협력과 상호신뢰, 이해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1988년부터 2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는 서태평양 역내 다자간 협의체다. 올해는 서태평양해군심포지엄 본회의가 열리지 않지만, 오는 4월 과장급 실무회의가 개최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 대변인은 일본 방위상의 해상자위대 기지 방문에 맞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의 해군작전사령부 방문을 공개한 것에 대해서는 “국방부 차원에선 객관적이고 또 절제된 대응을 해 왔지만, 일각에서는 ‘조금 더 강한 대응이 필요하지 않냐’라는 주문이 있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했지만, 이것은 정치적인 부분과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음 달로 계획됐던 해군 제1함대사령관의 일본 방문계획이 무기한 연기된 이유에 대해서는 “부대 일정상 사정이 있어서 순연된 부분”이라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