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당發 역사전쟁 불붙을까…“식민지ㆍ징용, 말부터 바꾸자”
-역사 지적 쏟아진 당정청 토론회
-3ㆍ1운동은 ‘혁명’…”강제징병이라 부르지 말자”
-국방부 ‘국방역사서’ 등 대대적 행사로 정부 보조
-남북공동기념사업 北제안, 별다른 답 없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3ㆍ1운동ㆍ임시정부 100주년 기념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내빈들이 만세삼창을 외치고 있다. 오른쪽 세번째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의원(2ㆍ8독립선언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 이해찬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연합뉴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ㆍ여당이 ‘역사전쟁’에 나섰다. 일제강점기때 사건들을 부르는 이름부터 다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2019년을 맞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강조했다. 건국절 논란 등 정치권에서 있었던 역사적 논쟁을 끝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민주당 역사와 정의 특별위원회는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정청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 참석한 이종찬 우당기념관 관장은 “마치 우리나라가 일제 식민지인 것처럼 말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한다”며 “식민지라고 하니까, 식민지 근대화론까지 나와 대한민국이 식민지가 돼 잘 살았다는 말이 나온다”고 했다.

여권은 “아주 탁견이다”고 화답했다. 정운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식민사관에 뿌리박힌 생각들을 총검토하는 민관위원회를 만들어서 전체적으로 용어를 검토했으면 좋겠다”며 “우리가 용어를 부지불식간에 쓰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이어 “강제징용ㆍ징병이라고 표현하는데 왜놈들이 끌고 가는 것이 왜 징용이냐”며 “징용이나 징병은 정상적인 국가가 국민을 동원하는 행위”라고 했다.

이종걸 민주당 의원은 3ㆍ1운동을 혁명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했다. 3ㆍ1운동ㆍ임시정부 100주년기념특별위원장인 이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출연해 “그 수단이 폭력적이지 않았지만, 새로운 조선의 변동이기 때문에 그것은 혁명으로 보는 것이 낫다”며 “이해찬 민주당 대표도 전날 분명히 정명 운동을 하겠다고 했고, 우리도 본격적으로 역사학적 뒷받침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좀 받아볼 생각”이라고 했다.

건국절 논란도 도마에 올랐다. 발제를 맡은 한인섭 서울대 교수는 “1948년 건국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헌법을 지워버리고 싶을 것”이라며 “헌법에 명확하게 (임시정부 법통 계승이라고) 돼 있기에 건국절 주장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 문구에는 독립운동의 맥박과 피 흘림이 들어가 있다”며 “그래서 김준엽 선생이 정치참여를 마다하면서 구절을 넣은 것”이라고 했다. 김준엽 선생은 당시 독립운동의 법통을 계승한 마지막 인물로 평가됐다.

자리에 참석한 각 부처 관계자들은 이에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는 사업들을 보고했다. 행안부ㆍ교육부ㆍ보훈처ㆍ경찰청ㆍ국방부ㆍ문체부가 모두 참여했다.

국방부는 1984년 발간된 국방사 제1집에 독립군과 광복군 내용을 보강해 넣기로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증보판 발간을 준비 중”이라며 “이번 증보판은 의병ㆍ독립군ㆍ광복군이 대한민국 국군의 정신적인 기원임을 확인해 그 역사성과 정통성을 반영한 국방역사서로 그 의의가 크다”고 했다. 또 “군 정신교육 자료에도 내용을 넣을 것”이라고 했다.

경찰은 독립운동가 출신 경찰관을 발굴했다. 현재까지 31명이 밝혀졌다. 3ㆍ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대대적인 기념사업을 준비 중이다. 위원회는 “우리 헌법 전문에서 대한민국은 3ㆍ1운동과 임시정부의 법통을 승계했음을 천명했다”고 했다. 다만, 3ㆍ1운동 100주년 남북공동기념사업에 대해서는 “제안서를 북한에 보냈지만, 별다른 답변이 없었다”고 했다.

민주당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역사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쏟고 있다. 아침회의에서도 거의 매일 언급했다. 전날에는 ‘3ㆍ1운동 100주년 기념특별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올해로 분단 종식을 고할 것 같다는 예감이 든다”며 “북미회담이 2월말 열리고 남북회담이 이어 열리면 분단체제 종식을 고하고 평화 공존체제로 넘어가는 중요한 전환기가 될 것이며, 이 전환기에 3ㆍ1운동과 임시정부를 기리는 건 뜻깊고 의의 있다”고 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