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병준 “여당에서도 반대의견 나오는 탈원전 정책…정부 다시 생각해야”
-“여권도 신한울 3ㆍ4호기 재개 주장” 비판
-‘미국 국민 최우선’ 폼페이오 발언에는 “우려”


14일 국회에서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공사가 중단된 신한울 3ㆍ4호기를 두고 한국당이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라”며 연일 공세에 나서고 있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여권의 중진의원조차 신한울 3ㆍ4호기의 매몰비용을 이유로 공사 재개를 주장했다”며 “탈원전 정책에 따른 부작용과 민심이반이 심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 아니겠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여당 의원들은 하나하나가 국민의 대표이지 정부 대리인이 아니다”라며 “문재인 정권은 해외에서와 국내에서의 말이 다른데, 탈원전에 대한 인지부조화를 지금이라도 중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회의에 참석한 나경원 원대대표 역시 “여권에서도 신한울 3ㆍ4호기의 재개 목소리가 나왔다”며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를 없애고 전기료 인상 등의 부작용이 예상된다. 즉각 신한울 3ㆍ4호기를 재개하고 탈원전 정책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송영길 더불이민주당 의원은 지난 11일 ‘원자력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원자력업계가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탈원전 하다 보니 여러 가지 힘이 빠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오래된 원자력과 화력을 중단하고 신한울 3·4호기와 교환하는 방안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말해 당 내부에서도 “발언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다음 달로 예상되는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김 위원장은 “미국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 국민이 최우선이다’라는 말을 했다. 우리로서는 완전한 비핵화에서 ICBM만 폐기하는 핵동결로 선회한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든다”며 “핵동결 수준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미국 국민은 안전해지겠지만, 우리 국민은 핵 인질이 된다”고 했다.

그는 “북한과 미국, 북한과 중국은 밀착하는 데 반해 우리 정부는 북한우선주의에 기울어 대북제재 완화에만 관심을 쏟고 있다”며 “우리 국민의 생존 문제가 달린 만큼 정부는 미국의 입장 변화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