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국립재활원 보급이 유일
물리치료와 동일 보험수가 적용
병원들 억대 가격에 구매 꺼려
최근 재활로봇기술이 상용화 수준에 도달했음에도 정작 이를 판매할 시장은 부족해 업계가 고민에 빠져 있다. |
“재활로봇을 만들어도 국내에서는 팔 곳이 없다.” 한 재활로봇 업계 관계자의 토로다.
3일 국립재활원과 로봇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재활로봇 시범사업으로 총 13종(117대)이 보급됐고 이들 대부분은 국내 로봇전문업체가 개발했다.
최근에는 대기업까지 속속 재활로봇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IFA)에서 하체 근력 지원용 ‘LG 클로이 수트봇’을 공개했다.
오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IT 박람회인 ‘CES2019’에서는 허리 근력을 보조하는 수트봇을 추가로 선보인다.
LG전자 관계자는 “산업현장뿐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불편함을 겪는 사람을 도와줄 수 있는 로봇”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도 이번 CES에서 근육질환에 사용하는 발목 보조로봇 등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 일부를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재활로봇이 상용화 수준에 도달했음에도 정작 이를 판매할 시장이 국내에는 없다는 점이다. 현재로선 일부 민간 대형병원을 제외하면 국립재활원이 보급하는 재활로봇 시장이 사실상 유일하다.
이마저도 무료 보급 사업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병원에선 인력, 공간을 제공하고 정부ㆍ기업 등이 무상으로 병원에 재활로봇을 제공하는 식이다.
업계는 현행 건강보험 수가 시스템이 유지되는 한 병원 등이 재활로봇을 구매하기 힘들다고 지적한다. 현재 재활로봇은 신의료기술 인증에 제외돼 있다. 현재 재활로봇 서비스나 물리치료사의 재활치료나 건강보험 수가는 동일하다.
국립재활원이 보급하는 재활장비 중 2종은 3억원 이상의 고가이며 그 외의 장비도 5000만~1억5000만원 수준이다. 국립재활원 관계자는 “기존 재활치료 서비스와 수가가 동일해 병원으로서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고가의 장비를 구매할 동기가 없다”며 “보급사업에 선발되지 않은 병원들이 별도로 도입하고 싶어도 망설이는 부분이 수가 부분 때문”이라고 전했다.
병원에서 도입을 꺼리다 보니 업계에선 임상 시험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창수 한양대 교수는 “의료 데이터에 대한 규제나 한계가 심하니 한국은 재활로봇이 활성화될 토양 자체가 없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병원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업계에선 아예 개인판매로 눈길을 돌리기도 한다. 재활로봇 상용화에 성공한 A업체 관계자는 “재활로봇 2종을 개발했지만, 병원에서 구매를 꺼려 최근엔 개인용 재활로봇을 개발했다”며 “5000만원 내외의 가격으로 개인이 구매하기 힘들 것이란 판단에 디자인 등 품질을 더 높이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BIS리서치에 따르면, 재활로봇 세계 시장은 2016년 9600만달러에서 2026년엔 46억5000만 달러(약5조3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재활로봇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는 규제 개선뿐 아니라 학계와 업계 간 활발히 교류하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상수 기자/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