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수역 폭행사건’ 드러난 거짓말에 역풍…“선량한 피해자, 외면 받아선 안 돼”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여론 호도한 청원…성대결 공론장에 역풍 우려 

[사진=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경찰이 이른바 ‘이수역 폭행’ 사건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남성 및 여성 일행 등 5명을 전원 검찰송치한 가운데,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사건을 부풀린 이들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측의 주장을 믿고 ‘피해자’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청와대 국민청원에 동참했던 36만명의 시민들은 할말을 잃었다.

경찰은 26일 A(21)씨 등 남성 3명과 B(26)씨 등 여성 2명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공동폭행) 위반, 모욕 등의 혐의로 검찰에 전원 불구속 기소의견으로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의 최종 발표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당초 알려진 여성 측 주장과는 사실관계가 다른 지점이 다수 있다. 우선 경찰 출동에 30분이 걸렸다는 주장과 달리 실제 4분만에 출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과 여성의 분리조사 역시 제대로 이뤄졌다는 해명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남성의 신발과 여성의 옷에 대한 성분 분석을 의뢰한 결과, 남성이 여성을 발로 찼다는 증거 역시 나오지 않았다. A 씨는 두피에 부상을 입은 B씨와 마찬가지로 손목에 전치 2주의 상해를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

36만명이 서명했던 청와대 국민청원글에 따른 청와대의 답변도 다르지 않았다. 정혜승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은 “짧지 않은 기간, 전력을 다해 다각도로 수사해온 경찰의 결론을 존중해야 할 시점”이라며 “경찰 수사를 토대로 검찰이 실제 이들을 모두 기소할지 여부 등을 더 지켜봐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세간을 들썩이게 했던 이수역 폭행사건 논란이 종지부를 찍게 되면서 잘못된 내용을 믿고 청원에 동참했던 이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사건 파급력을 키우기 위해 각색된 이야기에 속아 자신의 일처럼 분노한 게 억울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유사사건 발생시 실제 피해자들이 겪게 될 편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청원에 참여했던 A모(27) 씨는 “여자가 머리 짧다는 이유만으로 맞았다’는 온라인 게시물 내용을 믿고 함께 분노했고, 주변 사람과 언쟁까지 벌였는데 허무하다”며 “이 사건을 계기로 실제 피해자가 발생했을 때 외면하는 이들이 늘어나선 안 된다”고 우려했다.

한때 관련 청원이 이어지며 성 대결 담론의 중심 역할을 했던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진다. 기본적인 사실관계조차 제대로 적지 않고 자극적으로 각색한 청원글의 파급력이 폭발하면서 국민관심이 불필요한 이슈에 집중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찰 발표 이후 국민청원게시판에는 해당 사건을 비판하는 청원글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한 청원인은 “거짓된 사실을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려놓고 자신들을 일방적 피해자로 만들었다”며 “‘여성 폭력 방지법’을 만들어가는 이런 때에 거짓으로 성별대립을 야기시킨 이번 결과가 양성평등에 입각한 정확한 판결이 되길 바란다”며 비판했다.

한편 이수역 폭행사건은 지난 11월 13일 발생한 후 ‘검색어 총공격’에 힘입어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고 11월 14일 작성된 청원글에는 총36만 5418명이 서명했다.

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