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도 포기한 트램 도입…구미시 추진에 시민단체 반발
사진=SBS 뉴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경북 구미시가 1조6000억원 규모의 ‘트램’ 도입을 추진하자,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약이던 트램 도입 사업을 포기했다.

구미 경실련 측은 “구미시가 구미공단과 아파트 신도시 등에 트램 5개 노선을 짓기로 하고, 타당성 예비조사 예산 2억원을 시의회에 요청했다. 트램 도입은 구미시를 재정위기에 빠트리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고 17일 중앙일보가 보도했다.

트램 도입 사업은 장세용 구미시장의 공약이다. 임기 중 우선 1노선(봉곡동~구평동 16.2㎞)을 착공하겠다고 했다.

최근 구미시의회는 구미시가 요청한 타당성 예비조사 예산 2억원 중 1억5000만원을 통과시켰다. 구미시는 의회에서 “트램 건설비용이 1㎞당 1500억 원인 지하철보다 6분의 1 수준으로 낮고, 건설비용의 60%는 국비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구미 경실련 측은 “트램 5개 노선을 다 짓는데 드는 돈이 1조6000억원, 연간 운영비도 491억원이다. 42만 인구의 구미의 재정 상태에선 불가능한 사업이다. 구미시보다 재정 상태가 좋은 창원·광명·파주·안성·전주·김해시 역시 트램 도입을 검토했다가 재정 악화 우려로 중단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비를 50% 지원받아도 8000여억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트램보다 직행 버스노선을 신설하면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부 구미시의원도 “구미시 대부분 지역에서 30분 이내로 출·퇴근이 가능한데, 트램이 과연 필요한지 의문이다”며 반대 입장을 보였다. 2019년 구미시 연간 예산은 1조2055억이다.

대구시는 최근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약이던 트램 도입 사업을 포기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트램과 관련, 국비 이외에 추가 비용을 모두 시의 지방 예산으로 부담해야 해 정부의 트램 사업 공모에 별도로 참여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