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충남도, ‘도민을 도정의 주체로’ 충남형 협치모델 정립
-지속가능한 협치도정을 위한 3개 분야 10대 정책과제 추진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충남도가 ‘도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충남형 협치모델 정립’을 기치로, 도민의 도정 참여를 통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도민을 도정의 주체로 자리매김키 위한 3개 분야 10대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10대 정책과제는 도 각종위원회 참여 위원을 대상으로 협치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협치사업 실무자 및 도민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는 등 협치현장의 문제점을 개선해 지속가능한 협치도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정책 실효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도정 거버넌스 인식 확산, 지역사회(시ㆍ군) 거버넌스 강화의 3개 분야별로 도민참여 및 협치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등 ‘충남형 협치모델 정립’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밝혔다.

우선 ‘정책 실효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분야에서는 ▷충청남도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 ▷협치 기반형 위원회 활성화 ▷도민참여 확산을 위한 제도 설계 ▷협치형 정책추진체계 구축 등 4개 정책과제를 마련해 추진한다.

이 중 협치도정을 선도하고 실효적 운영의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충청남도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안장헌 의원 대표발의)를 지난 10월 1일 공포했고 조례상의 충남민관협치회의 위원 선정을 연말까지 끝낼 계획이다.

‘도정 거버넌스에 관한 인식 확산’ 분야는 ▷협치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충남 협치학교) ▷협치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 ▷협치 자문관제 도입ㆍ운영 등 3개 정책과제를 마련해 추진한다.

이 중 ‘충남협치학교’는 공무원, 지역공동체 주체, 각종 위원회, 민간단체, 활동가 등 5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협치현장의 역량강화에 중점을 둬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시군) 거버넌스 강화’ 분야는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적 자본 육성 및 역량 강화 ▷도정협치와 시ㆍ군정협치의 연계 발전방안 수립 ▷시ㆍ군 협치관제(전담부서) 설치ㆍ운영 등 3개의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충남도 김찬배 도 공동체새마을정책관은 “민관협치의 성패는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 주도의 문제해결 경험을 습득하느냐에 달려있다” 고 강조하고 “우선 제도적 기반 구축과 협치인식 확산을 통한 발전적 토대를 마련하고 점차 지역사회와 연계한 발전방안을 추진하는 등 충남형 협치모델을 체계적으로 정립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