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년 학생연구원 생활비 보조한다는데…대학원생들 “인건비 더 늘려야”
4개 과기원 확대되는 ‘지원장려금’
대학원생 “현행대로면 실효성 없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맞춤형 장려금 포트폴리오(Stipendㆍ스타이펜드)’ 제도를 놓고서, 대학원생들은 제도적으로 명확한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계획중인 제도로는 대학원생들의 열악한 생활 실태가 개선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다.

14일 대학가에 따르면 과기부는 현재 카이스트에서 스타이펜드 제도를 시범운행하면서, 제도적인 보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카이스트에서는 오는 1학기까지 시범운영을 진행하고, 디지스트와 지스트, 유니스트 등 대학에서는 내년 1월부터 제도를 시행한다. 스타이펜드 제도는 과기특성화대학 학생연구원들에게 안정적인 생활비 보장을 제공하는 제도다. 이공계 대학원에서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대학원생들이 활동의 대가로 ‘생활비’를 지원받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원생들은 근무하고 있는 연구실에 과제가 할당되지 않을 경우, 대학원생들은 연구에 참여해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없다. 이에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막기 위한 것이 스타이펜드다.

과거 연구비를 교수가 관리했던 데서 벗어나, 학교가 연구비를 관리하고 과제가 없을 때도 일정 금액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한다. 월간 석사과정은 70만원, 박사과정은 100만원 정도의 금액을 보장한다.

해외에서는 이같은 제도가 이미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펠로우십(fellowshipㆍ노동과 관계없이 생활보조금 지급)과 어시스턴트십(assistantshipㆍ연구교육 조교들에게 활동 대가로 지급하는 금액) 제도를 통해 학생들에게 연간 1600만~1900만원 수준의 금액을 지급한다.

한국에서는 제대로 도입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포항공대가 도입하고 있을 뿐, 이외 일선 대학에서는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과기부가 주도적으로 시행에 참여하면서 과기부가 관리하고 있는 4대 과학기술원(카이스트ㆍ지스트ㆍ유니스트ㆍ디지스트)에서 이 제도를 먼저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대학원생들은 여기에 추가적인 인건비 확보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가 지원을 늘려달라’는 것보다는 각 과업별로 떨어지는 연구비에서 인건비 비율을 늘려달라는 입장이다.

한영훈 카이스트 대학원총학생회 회장은 “인건비 중 연구비 비중은 현행 17% 수준인데, 이를 23%까지 늘리면 학생들의 생활 여건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면서 “70~100만원 정도의 금액은 이미 대학원생들이 받고 있는 금액이고, 이에 해당 금액을 받아도 학생들은 열악한 상황에 놓인다”라고 말했다. 

김성우 기자/zzz@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