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당, 26일 당무감사안 확정...당협위원장 교체 인적쇄신 착수

-이날 오후 조강특위 회의열어 실사안 확정
-90여명 현역의원 당협위원장 교체가 관심사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자유한국당이 26일 당무감사 실사안을 의결하고 인적쇄신 작업에 사실상 돌입한다. 당협위원원장 교체를 위해 이들의 일괄사퇴를 의결한 가운데 현역 국회의원의 물갈이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26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조강특위에서 당무감사 실사안을 확정하고, 당협위원장 교체를 위한 실사 작업에 바로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이날 오후 3시 당무감사위원회와 첫 회의를 열고 당무감사위원회에서 마련한 실사안을 최종적으로 의결한다.

당무감사는 일반적으로 지역구 현지 실사를 통한 정량평가와 면접 등을 통한 정량평가로 나뉜다. 이를 종합해 최종 ‘점수’가 나오고 비대위원장은 종합 조강특위와 당무감사위가 권고한 커트라인에 맞춰 당협위원장 교체와 임명을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당협위원장은 의원이 겸하게 되며 현역 의원이 없는 곳은 원외 당협위원장이 돼 차기 총선을 준비한다. 당협위원장 직은 조직에 대한 권한과 역할을 가지고 있어 총선 준비에 필수적이다. 당협위원장 교체는 인적쇄신의 방안으로 꼽히는 이유다.

가장 이목이 쏠리는 것은 현역 국회의원의 당협위원장 재임용 여부다. 조강특위의 전권을 쥔 전원책 변호사는 당협위원장 교체 기준으로 지역구 관리 보다 자질을 강조해왔다. 전 변호사는 ‘병역·납세 의무’를 기준으로 제시하면서 보수 통합의 바탕이 되는 인적쇄신을 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일괄 사퇴를 의결한 231명의 당협위원장 중 현역 의원은 90여명이다. 나머지는 원외당협위원장이다.

하지만 당협위원장 교체작업에서 현역의원들을 쉽게 건드리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현역의원들에게 칼을 들이댔다가 잠잠해진 계파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취임 100일은 맞은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계파갈등을 잠재운 점을 가장 큰 성과로 꼽고 있다.

실제로 현역의원 교체 여부를 두고 조강특위 내에서도 고민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현역의원의 교체가 있을 경우 계파 갈등이 폭발 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당은 홍준표 대표 체제 하였던 지난해 말 60여명의 당협위원장을 교체한 바 있다. 교체 명단에 서청원, 유기준 등 친박(親박근혜)계 의원들이 포함되면서 반발이 컸다.

반면 원외위원장만 교체할 경우 여론의 반발이일 가능성이 크다. 현역의원에 대한 인적쇄신 대신 힘 없는 원외 위원장만 건드렸다는 후폭풍이 올 수 있다. 선거에 임할 경우 ‘경쟁력’이 중요한 고려 사안 중 하나지만, 현역 의원은 이미 선거를 통해 경쟁력을 입증 받은 사람들인 것도 딜레마적 상황이다.

다만 조강특위는 현역의원의 교체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진곤 조강특위 위원은 통화에서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히면서 “지난해 당협위원장 교체 당시, 경쟁력이나 공정한 기준에 의하기 보다 정치적으로 당협위원장에 임명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며 “경쟁력도 지난해와 지금이 달라졌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