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러, 수교 70주년 맞아 밀월 과시…김정은ㆍ푸틴 축전외교
[사진=헤럴드경제DB]

-北 후견국 확보ㆍ러 영향력 확대 이해 맞아
-푸틴 “남북러 3자계획, 지역 안정 이바지”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과 러시아가 북미 핵담판을 앞두고 한층 더 가까워지는 모습이다.

북한 노동신문은 12일 북러수교 70주년을 맞아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주고받은 축전을 1면 머리기사로 나란히 게재했다.

김 위원장은 축전에서 “선대지도자들에 의하여 마련된 조로(북러) 친선협조관계는 호상존중과 선린, 호혜의 원칙에서 끊임없이 강화ㆍ발전되어왔으며 이러한 전통은 새세기에 들어와 변함없이 계승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7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전략적이며 전통적인 조로 친선관계가 새시대의 요구와 두 나라 인민들의 이익에 부합되게 지속적으로, 건설적으로, 계속 발전하리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기회에 강력한 러시아를 건설하고 국제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당신의 책임적인 사업에서 성과가 있을 것과 귀국 인민에게 복리와 번영이 있기를 진심으로 축원한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수십년간 로씨야(러시아) 연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러 분야에서의 건설적인 협조과정에 많은 경험을 쌓았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특히 “이미 거둔 성과에 토대하여 우리들이 남조선 동료들과의 3자계획을 포함한 모든 호혜적인 관계를 더욱 강화하게 되리라고 확신한다”면서 “이것은 의심할 바 없이 두 나라 인민들의 이익에 부합되며 조선반도(한반도)와 동북아시아지역 전반의 안전과 안정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라며 남북러 3자협력을 강조했다.

북러는 지난 8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최선희 외무성 부상과 이고리 모르굴로프 외무부 아시아태평양지역 담당 차관 간 회담과 9일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부장까지 합류한 3자회담을 갖는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 푸틴 대통령의 지난 5월 초청에 따른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북러정상회담도 조만간 열릴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러관계 진전은 미국과 협상을 앞두고 중국과 함께 러시아를 후견국으로 묶어두려는 북한과 한반도정세 급변 속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러시아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