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8 남북정상회담-평양] 물꼬트인 환경 협력…심각한 北 산림ㆍ하천오염 공동대응 주목
[사진=헤럴드DB]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남북 정상이 19일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환경분야의 협력을 약속하면서 향후 공동대응 방안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날 서명한 평양공동선언에는 ‘남북은 자연 생태계의 보호 및 복원을 위한 남북 환경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우선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산림 분야 협력의 실천적 성과를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는 내용이 담겼다.

남북의 환경분야 협력은 지난 2007년 12월 열린 남북 정상회담 후속 회의에서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 대기오염 측정시설 설치 등 환경 분야 4개 사업에 대한 합의를 이뤘지만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무위로 돌아갔다.

북한의 환경 실태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사실상 백지 상태와 같은 실정이다. 새터민(탈북자)이나 국제단체 등을 통해 북한의 산림은 황폐화하고 하천은 광산개발 등으로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전해지는 정도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 면적은 899만㏊로 전체 면적의 73% 수준인데, 황폐화한 산림은 284만㏊로 전체 산림 면적의 약 32%에 달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남북은 올해 7월 4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산림협력분과회담을 열고 북한 산림 황폐화 대책 등을 논의한 바 있다.

산림청은 북한 황폐산림 복구의 근간인 대북지원용 종자를 올해 35톤 가량 채취ㆍ저장해놓은 상태인 가운데, 국제기구ㆍ비정부기구(NGO) 등과 연계해 남북 산림협력 기반을 마련해 둔 상태다.

또 북한의 하천은 분뇨ㆍ생활 오수, 공장·광산 폐수 등으로 오염돼 있으며, 오ㆍ폐수 처리 하수 시설을 충분히 갖추지 못해 주민이 대장염, 장티푸스 등의 질병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의 상수도 보급률이 93%에 달한다는 국제단체 조사 결과가 있지만, 실제로는 고위층 거주지인 평양의 중심지만 상수도 보급 상태가 양호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은 안전한 음용수를 제공하는 시설이 부족해 우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추장민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KEI) 부원장은 “북한 산림을 복구하고 하천 기능을 회복한 뒤 남북이 공동 관리해야 한다”며 “북한에 환경 인프라를 구축해 남북이 공동 번영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