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대통령, 9월 5일 대북 특사 파견…“특사단 규모 인원은 추후확정” (종합)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5월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만나고 있다. [사진=청와대]

- 南, 31일 오전 북측에 9월 5일 특사단 파견 제의… 北 이날 오후 ‘긍정 응답’

[헤럴드경제=홍석희·문재연 기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9월 5일 특별사절단을 평양에 보내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오전 10시 30분 무렵 전통문 보내 9월 5일 특사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전통문을 받은 북쪽은 특사를 오후에 받겠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내왔다”며 “대북특사는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 개최일정과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정착등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정상회담은 지난 4차 고위급회담에서 평양서 열기로 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특사단 선정과 인원규모와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앞으로 협의해야 할 상황”이라며 “남쪽과 북쪽 모두 여러 경로를 통해 (특사단 파견) 협의를 해왔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특사단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저희들이 내심 생각하는 바는 있는데 그 분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다”며 “추후에 결정되는대로 누가 갈지, 가면 누구를 만날지 또 뭐 며칠이나 머물지 교통편은 어떻게 이용할지 등을 여러분들에게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정상이 9월 안에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를 한 만큼, 그 합의내용을 지키기 위해서는 9월 5일 정도고 이보다 더 미뤄져서는 안되겠다고 판단을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상회담 날짜가 임박해 특사단 파견이 이뤄지는 것이 ‘남북 관계가 원활치 않은 것 아니냐’는 질의에 대해 김 대변인은 “원활하지 않았으면 특사 자체가 못갔곘죠. 지극히 정상적인 협의과정”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또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연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남북은) 얘기를 해왔고, 대화이후 결과가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특사파견”이라고 말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